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 · 러, 북한 편들기…"안보 우려 미해결, 한반도 긴장 근원"

중 · 러, 북한 편들기…"안보 우려 미해결, 한반도 긴장 근원"
▲ 류샤오밍 중국 특별대표(오른쪽)와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

중국과 러시아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한반도 긴장의 근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외교부는 27일 류샤오밍 중국 정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이 전날 베이징에서 만나 한반도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외교부 발표에 따르면 양측은 한국전쟁 정전 70년 동안 정전협정에서 평화협정으로의 전환을 실현하지 못했다며 각 측의 우려, 특히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균형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이 한반도 긴장과 대립의 근원이자 문제점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어 한반도의 평화 안정 수호,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평화체제 수립은 지역·국제 사회의 공동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류 대표와 루덴코 차관은 그러면서 각 측이 공동·종합·협력·지속 가능한 안보관을 견지하고 '쌍궤병진'(비핵화와 북미평화협정 동시 추진) 사고와 단계적·동시적 행동 원칙에 따라 의미 있는 대화로 각자의 우려를 균형 있게 해결하며 한반도의 장기적인 안정을 하루빨리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외무부도 "양측이 최근 수년간 한반도에서 미국과 동맹들에 의한 불균형한 군사 활동의 전례 없는 증가와 공동 핵 계획 실행으로 인해 지역의 긴장이 지속되는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외무부는 이 같은 야망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전략적 균형을 훼손하고 긴장 고조와 군비 경쟁을 촉발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와 중국은 관련국의 정당한 안보 우려에 따라 이 지역에서 핵 및 다른 문제의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해결 과정을 지지할 공동 제안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가 성명에서 표현한 '미국과 동맹들'은 한반도 및 주변에서 미국과 공동 군사 훈련을 벌이는 한국과 일본을 지칭한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사진=중국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