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소득기준 폐지 등 저출생 대응 추진

경기도, 난임부부 시술비 소득기준 폐지 등 저출생 대응 추진
경기도가 저출생 대응을 위해 가족친화기업 특별보증, 난임부부 시술비 소득기준 폐지 등을 추진합니다.

경기도는 오늘(26일) 도청에서 김동연 지사 주재로 제1차 '인구2.0 위원회'(가칭)를 열고 이런 내용이 포함된 임신·출산 분야 저출생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우선 도는 '가족친화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지금까지 연간 35곳에서 내년부터는 50곳으로 확대합니다.

이들 인증된 기업이 가족친화제도를 도입할 경우 제공하는 지원금도 20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높입니다.

가족친화 기업에 대해 최대 3억 원, 총 500억 원 규모의 특별보증 사업도 추진합니다.

공공 분야에서는 난임치료 휴가에 부부동행 휴가를 신설하고, 공공기관 직원의 육아휴직 시 정규직 충원을 위한 별도 정원제와 수시 채용을 시행합니다.

둘째 아이 이상 출산 가정 가운데 긴급 양육 공백이 발생한 경우 소득에 관계없이 1인당 30만 원 내에서 돌봄서비스 본인부담액을 지원하는 '둘째희망플러스 아이돌보미 서비스'도 도입합니다.

도민 요구가 많았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사업'의 경우 소득 기준을 7월 1일부터 전면 폐지할 방침입니다.

지난해 시술비 지원을 통한 임신 성공률은 28.5%로, 지원 대상을 확대할 경우 출산율이 높아질 것으로 도는 전망했습니다.

최근 '수원 냉장고 영아시신 사건'을 계기로 '위기 임산부 핫라인' 운영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24시간 전문상담과 함께 분만, 임시 숙식, 양육용품 지원과 지자체·법률·병원 심리치료 연계 등을 담당하는 방안입니다.

인구2.0 위원회는 올해 1월에서 6월 사이 도민 대상 심층인터뷰, 토론회 등에서 나온 방안들을 핵심 방향으로 설정하고 사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온ㄹ 회의에는 육아 부모, 기업 대표, 전문가 등 23명의 위원이 참석했습니다.

(사진=경기도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