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집값 낙폭 9개월 만에 최소…송파 · 강남구 상승

서울 집값 낙폭 9개월 만에 최소…송파 · 강남구 상승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전셋값 하락 폭이 둔화하는 가운데 서울 일부 지역은 집값이 상승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12일 조사 기준) 서울 주택 (아파트·연립·다세대·단독주택 포함)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이하 모두 전월 대비) 0.18% 하락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0.08%) 이후 9개월 만에 낙폭이 가장 작은 겁니다.

서울 주택 매매가는 이달까지 5개월 연속 낙폭이 줄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에서 송파구와 강남구의 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각각 0.52%, 0.17%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이달 0.28% 하락하며 5개월 연속 낙폭이 축소됐습니다.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0.06%와 0.04% 하락했습니다.

경기(-0.79%→-0.29%)와 인천(-0.59%→-0.23%)도 일제히 낙폭이 줄면서 수도권 하락 폭은 -0.24%였습니다.

5대 광역시 (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에서도 전월(-0.67%)보다 낙폭이 감소해 0.34% 하락했습니다.

기타 지방(세종시와 8개도)은 0.17% 떨어졌습니다.

전국 주택 매매가는 0.25% 떨어져 전월(-0.58%)보다 낙폭이 줄었습니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이달 0.22% 하락했습니다.

KB선도아파트 50지수 월별 증감률

시가총액 상위 50개 아파트 매매가격은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이달 89.70으로 지난달 88.97보다 상승했습니다.

이 지수는 지난해 7월 처음으로 하락 전환한 뒤 10개월 연속 전월 대비 하락하다 지난달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이 지수는 전국 아파트 단지 가운데 가구 수와 매매가를 곱한 상위 50개 단지의 시가총액 변동률을 수치화한 겁니다.

이는 가격 변동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보여줘 전체 시장을 축소해 선험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미가 있다고 KB국민은행은 설명했습니다.

선도아파트에는 서울 송파구의 '헬리오시티', '파크리오', '올림픽선수기자촌', '잠실 엘스'와 서초구의 '반포자이', '래미안퍼스티지' 등이 포함됩니다.

6월 지역별 매매전망지수

매매가격과 전세가 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올랐지만, 여전히 매매가격 하락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 91에서 이달 96으로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지난달 92에서 99로 오르며 기준점인 100에 근접했습니다.

인천은 91에서 96으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경기는 지난달 96에서 이달 101로 100 이상을 기록했고, 세종과 충북 등도 100을 넘겼습니다.

KB부동산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6천여 개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 집값의 상승·하락 전망을 조사해 0∼200 범위로 수치화한 겁니다.

100을 초과할수록 2∼3개월 후 가격이 상승한다는 전망이 높다는 의밉니다.

반대로 100 미만이면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전국 전셋값 전망지수는 92에서 96으로 상승했습니다.

(사진=KB부동산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