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 관영지, 국적항공사 일부 한중노선 운항 중단에 노골적 불쾌감

중 관영지, 국적항공사 일부 한중노선 운항 중단에 노골적 불쾌감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항공노선의 여객 수요 감소로 일부 한국 국적 항공사가 노선 운항을 일시 중단하기로 하자 중국 당국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

한국 관광지와 면세점에서 중국인들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협박성 주장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오늘(26일) 한국의 항공노선 조정은 시장 요인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항공사가 여객 수요 증가를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내놨습니다.

둥샹룽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이 매체에 "탑승객 감소로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항공노선을 중단하는 것은 합리적"이라면서도 "승객이 적은 배경에는 분명히 정치적 요인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4월 로이터 통신 인터뷰 등을 통해 한국 측이 '힘에 의한 대만해협 현상 변경 반대'를 강조하면서도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한다고 밝히지는 않은 점이 양국 관계 긴장을 초래해 한중 여객 수요가 감소했다는 주장입니다.

둥 연구원은 "한국 정부는 친미·친일 노선에 치우친 외교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러시아와의 관계 악화와 한반도 긴장에 대한 국내의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며 "한국 정부는 중한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의지와 행동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한국은 덜 매력적인 여행지가 됐고 한국 상품의 인기도 떨어졌기 때문에 한국 면세점과 관광지에 중국인 관광객이 몰려드는 모습을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신문은 중국 당국이 올해 초부터 태국, 인도네시아, 네팔, 베트남 등 60여 개국에 대해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을 허용하면서 한국을 단체여행 대상국에 포함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또 일부 중국 노선 운항이 중단되더라도 다른 노선의 재개·증편에 따라 전체 운항 횟수는 늘거나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한국 항공사의 발표도 소개하지 않았습니다.

대한항공은 김포∼베이징과 인천∼샤먼 노선 운항을 8∼10월 중단하지만, 인천∼창사·웨이하이 노선 운항을 재개해 한중 노선 항공편을 이번 달 주당 95회에서 다음 달에는 주당 124회로 늘릴 예정입니다.

아시아나항공도 내달부터 김포∼베이징과 인천∼선전 노선을 운항하지 않지만, 6∼8월 전체 한중 노선 운항 횟수를 주당 85회로 유지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