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터뷰했던 10대도 결국 손댔다…험난한 마약 치료

<앵커>

심각한 마약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오늘(23일)은 우리나라에서 마약 치료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중독성이 강한 마약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빠르고 지속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치료를 시작하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고 하는데 먼저, 그 실태를 배준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10대 투약자 취재 과정에서 만났던 A 양, 펜타닐 중독에 두 달간 입원 치료를 받아왔는데, 돌발 상황이 생겼습니다.

병원을 나왔다며 갑자기 연락해 온 겁니다.

[기자 : (기차역) 안에 있어요? 기차 타는 데?]

취재진과 다시 만난 A 양, 일주일 넘게 약에 취해 지냈다고 했습니다.

[A 양 : (병원에서) 나와서 만났던 사람들 때문에 다시 약을 한 거니까…]

병원으로 돌아가자고 한참을 이야기해도, 그사이 뇌와 의지를 지배해 버린 마약의 중독성에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A 양 : ((병원) 올 생각 있어요?) 병원이요? 모르겠어요.]

치료의 문턱에 들어서지 못하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지난달 경찰이 어렵게 소재를 파악했던 B 양,

[조승현/경기남부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 경위 (5월 29일 보도화면) : 그러니까 마약이라는 거야. 중독성이 심하다는 거야.]

2주 넘게 수소문하고 설득을 시도했지만 다시 종적을 감췄습니다.

[조승현/경기남부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 경위 : 압박감이 좀 있었던 것 같기는 하죠. 심리적으로. 이제 도망다니려고….]

치료를 마음먹기도, 치료 과정을 견뎌내는 것도 쉽지 않은 게 현실, 하지만 긴 터널의 끝에 다다른 투약자는 새로운 일상을 꿈꾸고 있습니다.

[김금비(가명) : 대학교도 내년쯤에 입학하려고 준비 중이고 몸도 더 건강해지고 싶고….]

17살에 펜타닐에 손을 대며 이어졌던 4년간의 악몽, 몇 달간 치료를 위해 지방과 인천을 오가며 단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금비(가명) : '나 정말 이제는 끊어야 돼' 이런 생각이 머릿속에 일단 박히면 그리고 치료를 딱 시작했을 때 제일 효과가 좋은 것 같아요.]

[한창길/마약중독치료 전문상담사 : 회복하려는 의지가 굉장히 많은 친구라서 나중에 이런 친구들이 또 회복 잘해서 3년, 4년 회복하면 제 역할을 또 하는 거예요.]

(영상취재 : 이용한·김승태, 영상편집 : 원형희, CG : 조수인, VJ : 이준영)

▶ 마약 못 끊는 건 의지 탓?…치료 원해도 병원 전국 2개뿐
▶ "살점도 뜯겨…다 번아웃" 고된 업무에 마약병동 떠난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