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성수동에 2030년 세계 최대 창업허브…유니콘 50개 육성

서울 성수동에 2030년 세계 최대 창업허브…유니콘 50개 육성
▲ 오세훈 서울시장

오는 2030년까지 서울 성수동에 세계 최대 규모의 창업지원 시설이 생기고 수서에는 로봇 기업을 중점 육성하는 클러스터가 조성됩니다.

공유오피스 확충 등을 통해 서울 내 창업지원 공간은 현재 15만㎡에서 37만㎡로, 입주 기업은 1천130개에서 3천277개로 각각 대폭 늘어납니다.

오세훈 시장은 오늘(21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서울 창업정책 2030'을 발표하고 총 1조6천717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획은 오 시장의 첫 번째 재임 시절인 2009년 시작한 '2030 청년창업 프로젝트'의 연장선입니다.

시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의 효과로 2011년 17개였던 서울시 창업지원시설은 올해 현재 30개로 증가했습니다.

또 11년간 서울시 지원을 받은 1만4천 개의 스타트업은 2만3천 개의 일자리 창출, 1조5천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매출액 5조7천억 원 달성 등의 성과를 이뤘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지나며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투자 혹한기가 찾아와 많은 혁신 스타트업이 위기에 처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인 투자와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시는 설명했습니다.

시는 2030년까지 글로벌 유니콘(기업가치가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50개 기업을 키워내고 세계 5위 창업도시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를 위해 글로벌 미래 업무지구로 조성될 성수 삼표레미콘 옆 서울숲 주차장 부지에
1천 개 스타트업이 입주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10만㎡)의 '서울 유니콘 창업허브'를 건립할 계획입니다.

프랑스 파리의 스타시옹 에프(3만㎡), 싱가포르의 JTC 론치패드(6만㎡)와 같이 초기 단계 스타트업부터 예비 유니콘까지 입주하고 전문성을 갖춘 민간기관이나 기업들이 스타트업 선발·육성·투자를 책임집니다.

서울시는 입주기업을 위한 1천억 원 전용 펀드를 조성해 직접 투자합니다.

오 시장은 "건물 디자인도, 운영전략도, 입주한 기업도 모두 혁신의 아이콘이 되도록 만들 것"이라며 "글로벌 미래 업무지구에 들어올 내로라하는 기업들과 우리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협업하고 녹지까지 갖춘 미국 샌프란시스코 같은 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기업의 해외시장 안착을 지원하는 해외 창업거점도 확대합니다.

현재 베트남(호찌민)과 인도(벵갈루루)에 있는 해외 창업거점을 올해 개소하는 스페인(10월), 싱가포르(11월)를 포함해 미주, 유럽, 중동 등 20곳으로 늘립니다.

전국 투자자의 84%가 집중된 강남구 테헤란밸리에는 민간·공공 투자 네트워크 '테헤란포럼'(가칭)을 출범해 내년부터 운영합니다.

2025년까지 25개 전 자치구에 조성될 청년취업사관학교를 기반으로 개발 인재를 연간 1천500명씩 스타트업 현장과 연결해 2030년까지 1만 명이 취업하도록 돕습니다.

패션, 리빙(생활) 분야 예비·초기 창업자를 위한 '창세권'도 구축합니다.

기부채납 시설을 활용해 동교동, 흑석동, 아현동, 신정동, 장안동, 한강로동, 녹번동 총 7곳에 총 4만6천600㎡ 규모의 공유오피스를 조성하는 등 단기형 창업 공간을 최대 700곳 공급합니다.

4대 미래산업인 로봇, 핀테크, 바이오, 인공지능(AI) 분야 스타트업 육성 전략도 마련했습니다.

로봇 분야는 2026년까지 성장펀드 2천억 원을 조성해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시립노인요양센터, 시립병원 등에 돌봄로봇을 시범 도입합니다.

수서 일대는 '서울 로봇테크센터'를 중심으로 로봇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로봇 테마공원과 과학관을 만들고 로봇 아카데미를 운영해 2030년까지 1천500명의 인재를 육성합니다.

핀테크에서는 100개 핀테크 스타트업이 입주한 서울핀테크랩(여의도)에 제2핀테크랩(마포)을 통합해 2030년부터 170개 스타트업을 유니콘 기업으로 키워냅니다.

바이오에는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 내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 협력동(올해 11월)과 R&D지원센터(2025년 2월),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2027년 2월)를 차례로 개관합니다.

2030년까지 1조6천억 원 규모의 펀드도 만듭니다.

AI의 경우 인재와 기업, 연구기관을 위한 문화·주거공간까지 갖춘 'AI 서울 테크시티'를 2028년 양재동 양곡도매시장 부지에 20만㎡ 규모로 조성합니다.

아울러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제조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고척동 서울남부교도소 이적지에 '서울제조창업허브'(1만7천652㎡)를 2027년 구축합니다.

내년에는 수출 확대를 위한 '첨단 제조제품 현지화 지원센터'가 문을 엽니다.

내년부터 6천억 원 규모의 첨단제조 펀드를 조성해 기업당 최대 200억 원을 투자하고 2030년까지 610억 원을 투입해 유니콘 기업 10개를 배출합니다.

오 시장은 "창업정책은 산업정책인 동시에 일자리 정책이고 서울의 내일을 준비하는 미래 먹거리 육성 전략이기도 하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서울의 미래를 바꿀 청년정책'으로 부르고 싶다"고 했습니다.

이어 "2030은 창업정책의 목표연도인 동시에 청년세대를 상징하는 숫자"라며 "앞으로 훌륭한 청년 인재들이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는 창업에 도전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오 시장은 취임 이후 '글로벌 톱5 도시'를 목표로 글로벌 투자 창업 생태계 구축, 민간·지역과 협력한 양질의 일자리 공급, 균형개발을 통한 도시경쟁력 향상 등의 시정 목표를 추진해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