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물수능' 된다면 변별력은?…평가원장 전격 사임

<앵커>

수능에서 사라지게 된 초고난도 문항은, 이른바 '킬러 문항'이라고 불리는 문제들입니다. 지난해 응시생의 5.5 퍼센트만 맞춘 4점짜리 어려운 문항 등인데 문제는 이런 문항이 모두 없어지면 변별력이 떨어질 거란 우려가 나온다는 겁니다. 여러 논란 속에 수능 문제를 출제하는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장은 어제(19일) 전격 사임했습니다.

김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수능 수학영역 46개 문제 가운데 교육과정을 벗어난 출제라고 지목된 건 모두 8문제, 17.4%였습니다.

단순히 어려운 게 아니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벗어나거나 대학 수준의 문제를 냈다는 겁니다.

이런 문항 가운데 불과 5~10퍼센트 응시생만 풀 수 있는 이른바 '킬러문항'이 들어 있었습니다.

[김상우 연구원/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학교육혁신센터 :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선택과목 유불리가 생기고 이과생과 문과생이 공통으로 경쟁해야 되는 공통부분에서 나오는 킬러 문항 숫자들이 점점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문제가 된 지난 6월 모의평가에도 교육과정 밖 출제가 지난 수능과 비슷했단 분석입니다.

[이태규/국민의힘 의원 :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그렇다고 올 수능에서 초고난도 문항의 정답률을 20-30%로 높일 수도 없다는 게 출제기관의 고민입니다.

이른바 물수능이 되면 만점자가 대거 나와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집니다.

또 2024학년도 대입 전형 계획은 이미 지난 4월에 확정 발표된 상황이라, 이제 와서, 면접이나 교과 내신 같은 다른 요소를 추가로 도입할 수도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규민 원장이 전격, 사의를 표했습니다.

평가원은 안정적인 수능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만 덧붙였습니다.

공교육 내 출제와 변별력 유지, 두 과제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점을 잡을 것인지, 현장의 의문과 혼란은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