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블더] "청혼에만 580만 원 쓰고 SNS에 자랑"…외신, 한국 MZ세대 저격

우리나라가 날이 가면 갈수록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OECD 꼴찌 자리를 굳히고 있죠.

그런데 미국의 유력 매체인 월스트리트 저널이 한국의 값비싼 청혼 문화가 결혼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정면으로 비판하는 기사를 무려 1면에 실었습니다.

지난 15일 자 미국 월스트리트저널 1면입니다.

"결혼 전 비싼 장애물, 4,500달러짜리 화려한 프러포즈"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바로 한국의 값비싼 프러포즈 문화를 비판한 기사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한국인은 화려한 호텔 스위트룸에서 명품 가방을 주며 청혼하는 걸 선호한다며, 이를 SNS에 자랑하는 것도 일반적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이런 청혼에 4천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580만 원이 든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혼인율과 출산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한편으로는 이런 청혼 문화가 유행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SNS에 호텔 프러포즈로 검색하면 관련 게시물만 4만 개 이상 뜨고, 서울의 한 유명 호텔에서는 157만 원짜리 프러포즈 패키지가 한 달 평균 38회 정도 예약되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외신에서까지 우리나라 청년들의 이 과시 문화를 비판하고 나선 건데, 팍팍한 경제 상황이 오히려 이런 과시 문화를 심화시켰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젊은 청년들이 서울에 아파트를 사려면 숨만 쉬어도 30년이 걸린다는 말이 있죠.

이런 상황에서 청년들은 애초부터 내 집 마련과 자산 형성을 포기하고, 대신 고가의 물품을 소비하고 그걸 SNS에 자랑하면서 만족감을 얻기도 합니다.

여기에다, 계층별 양극화도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 격차는 무려 6배에 육박할 정도입니다.

[서지용/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너무 크고 집값도 어떻게 될지 모르고 하다 보니까 자꾸 결혼도 늦게 하고 그러면서 오히려 현실에 더 즐기면서 살자 하는 '욜로족'이란 그런 언급도 나오고 있는 거거든요. 내가 있는 부를 과시하고 오히려 미래보다는 현실에 이제 더 주력하는 그런 쪽의 경제 상황으로 이제 가고 있는데 오히려 장기적으로 갈 때 미래 지향적이지 않은 그런 삶으로 나갈 수 있단 측면에서 사실 경제생활이 합리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낮다고 보여집니다.]

청년들이 열심히 일하고 싶은 동력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까지 닥치면서 구직도,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그냥 쉰 청년의 수는 지난해 보다 3만 명 넘게 증가한 35만 7천 명에 달했습니다.

전체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이렇게 쉬는 사람이 늘어난 연령대는 20대가 유일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