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간판 달고는 장사 힘들다"…중국 기업, 본사 외국 이전 행렬

"중국 간판 달고는 장사 힘들다"…중국 기업, 본사 외국 이전 행렬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각종 제재 등을 이유로 본사를 외국으로 옮기는 중국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간) 해외 시장을 염두에 두고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중국 기업들이 적지 않다고 보도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업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패스트패션 업계의 정상에 오른 중국의 패션기업 쉬인입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쉬인은 최근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중국 난징의 기업 등록을 말소했습니다.

또한 아일랜드와 미국 인디애나주에 지사를 설립하고 워싱턴DC에 로비대행업체와도 계약했습니다.

쉬인은 최근 성명을 통해 "우리는 세계 150개 시장의 소비자들을 상대로 영업하는 다국적 기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올해 안으로 예상되는 미국에서의 기업공개(IPO)에 대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됩니다.

쉬인은 저렴한 상품을 앞세워 경쟁 업체를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 내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값싼 섬유를 사용해 상품을 생산했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이 같은 의혹은 1천억 달러(약 130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는 초대형 IPO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만큼 중국 색을 최대한 빼겠다는 것입니다.

또한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의 해외 쇼핑 앱 '테무'(Temu)는 본사를 보스턴에 설립했습니다.

지난해 9월 미국에 데뷔한 '테무'는 다양한 저가 상품을 앞세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올해 초에는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에도 진출했습니다.

테무의 모기업인 핀둬둬도 본사를 중국에서 아일랜드로 옮기면서 중국색을 뺐습니다.

이와 함께 전 세계 태양광 패널의 10%를 생산하는 중국업체 징코솔라는 최근 생산시설을 중국 바깥으로 이전했습니다.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미국의 수출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미국은 2012년부터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으로 생산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중국 업체의 태양광 패널 통관을 막기도 했습니다.

다만 본사를 이전하면서까지 중국색을 빼겠다는 중국 기업들의 노림수가 어느 정도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입니다.

쉬인이나 테무는 본사를 이전했다고 하더라도 중국산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파는 한 중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미국 정치권에서 신장 위구르 지역의 강제노동 문제에 대한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 마코 루비오 연방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성명을 통해 "쉬인이 아무리 숨기려고 하더라도 속을 사람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