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법 "압수조서 안 쓰고 피의자신문조서에 압수 취지 기재했다면 유효"

대법 "압수조서 안 쓰고 피의자신문조서에 압수 취지 기재했다면 유효"
사법경찰관이 증거물을 압수하면서 피의자신문조서 등에 그 경위와 취지를 적었다면 압수 조서가 없더라도 유죄의 증거로 쓸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불법 촬영 혐의로 기소된 30살 이 모 씨에게 일부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의정부지법에 돌려보냈습니다.

이 씨는 2018년 9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피해자 3명의 신체를 8차례 불법으로 촬영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1심 재판부는 이 씨의 모든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징역 6개월을 선고하고 40시간의 성폭력치료프로그램 이수 명령을 내렸지만, 2심은 형량을 똑같이 유지하면서도 피해자 중 한 명인 A 씨에 대한 범죄만 유죄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무죄로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관련 증거가 위법하게 수집됐다는 이유였습니다.

이 씨는 지난 2019년 1월 서울 서대문경찰서에서 수사받으면서 휴대전화 임의제출은 거부하고, 고소인인 A 씨 외에 다른 피해자들이 찍힌 사진과 영상 파일만 제출했습니다.

2심 재판부는 이 과정에서 사법경찰관이 압수조서를 작성하지 않아 부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소송법 등에 따라 사법경찰관은 임의제출된 증거물을 압수하면 압수 경위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한 압수조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다만 경찰청 범죄수사규칙은 피의자신문조서와 진술조서 등에 압수 취지를 기재하면 압수조서를 대신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2심 재판부는 아울러 압수목록 미교부와 범죄 관련성 초과 압수, 제출의 임의성(자발성) 증명 부족도 문제 삼았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단에는 압수 절차의 적법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해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며 다시 재판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사법경찰관에게 압수조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은 사후적으로 압수절차의 적법성을 심사·통제하기 위함인데, 피의자신문조서 등에 압수 취지를 기재해 갈음할 수 있도록 했다면 본래 목적인 적법성 심사를 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밖에 경찰이 촬영물을 제시하고 이 씨가 촬영 일시 등을 구체적으로 진술한 점을 볼 때 "실질적으로 피고인에게 전자정보 압수목록이 교부된 것과 다름이 없다"며 "피고인의 절차상 권리가 실질적으로 침해됐다고 보기 어려워 압수는 적법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불법 촬영 범죄의 특성상 다른 피해자에 대한 촬영물은 수사 대상 범행의 동기나 경위 등을 증명하기 위한 간접증거로 쓰일 수 있는 관련 전자정보로서 압수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은 이밖에 "원심은 동영상 제출의 임의성 여부를 보다 면밀히 살펴보아야 했는데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씨가 휴대전화 대신 동영상을 제출했고 검사에게 '동영상 복제에 동의했다'고 진술한 등의 사정이 있는 만큼 단순히 '임의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는 취지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