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6년 만에 유네스코 복귀…"중국 세력확장 차단 포석"

미국, 6년 만에 유네스코 복귀…"중국 세력확장 차단 포석"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탈퇴했던 유네스코에 6년 만에 복귀합니다.

유엔 산하 기구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오드리 아줄레이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현지시간으로 12일 긴급회의를 소집해 미국이 7월 재가입 의사를 공식적으로 전달해왔다고 193개 회원국에 알렸습니다.

미국은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인 2017년 10월에는 유네스코가 동맹국인 이스라엘에 부정적으로 편향됐다면서 이스라엘과 함께 이 기구에서 동반 탈퇴한 바 있습니다.

미국과 유네스코는 그간 분담금 납부를 포함해 이사회 복귀까지 아우르는 재가입 시나리오를 놓고 오랜 논의를 이어온 것으로 전해집니다.

미국 측 관계자는 유네스코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미국의 공백을 중국이 대신 차지하는 것에 관한 우려가 제기된 게 복귀 결정에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AP 통신에 설명했습니다.

미국은 특히 인공지능(AI) 및 기술교육과 관련한 세계 표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입김이 커지는 것을 우려해왔다고 AP 통신은 전했습니다.

재가입 의사를 밝힘에 따라 미국은 그동안 납부를 유보한 분담금을 한꺼번에 납부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AP 통신은 밀린 분담금 규모가 6억 달러(약 7천800억 원)에 달한다고 추산했습니다.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1년 팔레스타인이 유네스코에 가입한 이후 국내법에 따라 유네스코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습니다.

중동의 평화 협상이 완성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유엔 산하 기구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조치에 반대해온 것입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7년 10월에는 유네스코가 반 이스라엘 성향을 띤다며 이스라엘과 동반 탈퇴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2월 이스라엘 행정부가 미국의 유네스코 복귀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달해 복귀의 가장 큰 장애물이 사라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도 미국의 복귀 계획이 알려진 뒤 반대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양진 유네스코 주재 중국 대사는 "유네스코는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회원국이 손잡을 필요가 있다"며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모든 회원국과 공조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네스코는 "2022년 미국 하원이 유네스코 분담금 지급 예산에 합의하면서 미국의 복귀가 가능해진 상태"라며 "미국은 2017년 정식 탈퇴 이전인 2011년부터 분담금 지급을 유보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의 재가입 요청은 유네스코 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일부 회원국은 조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임시 총회 개최를 제안했다고 유네스코는 전했습니다.

(사진=중국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