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지난 10년간 연평균 2.5% 증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지난 10년간 연평균 2.5% 증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 10년 사이 '어쩔 수 없이' 아르바이트 등 시간제 일자리를 구한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전체 임금근로자 증가율의 약 2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2022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연평균 2.5%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임금근로자(15∼64세)의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습니다.

전체 임금근로자가 2012년 1천718만5천명에서 지난해 1천977만6천명으로 15.1% 늘어나는 사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28.6%(79만3천명→102만명) 증가했습니다.

지난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의 증가율을 연령대로 보면 50대 이상이 28만7천명에서 47만명으로 연평균 5% 늘어 가장 높았습니다.

이 기간 청년층(15∼29세)은 22만7천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 30대는 9만7천명에서 10만4천명으로 연평균 0.7% 각각 늘었습니다.

40대는 18만2천명에서 15만6천명으로 연평균 1.6% 줄었습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10명 중 6명(60.8%)은 당장 생활비 등 수입이 필요해 시간제 근로에 나선 '생계형 시간제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원하는 분야 일자리가 없어서'(17.2%), '육아·가사 등 병행'(5.5%),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3.4%)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10년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가장 급격히 늘어난 연령대는 청년층이었습니다.

7만1천명에서 13만4천명으로 연평균 6.6% 증가했습니다.

50대 이상은 23만4천명에서 36만1천명으로 연평균 4.4% 늘었습니다.

30대와 40대는 연평균 1.7%, 4.4%씩 각각 감소했습니다.

특히 청년층에서 생계형 시간제근로자 증가율이 높은 것은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구직기간이 장기화하며 시간제 일자리를 통해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습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전체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43.1%였습니다.

OECD 38개국 가운데 비교가 가능한 수치를 제공한 30개국 평균(29.1%)의 약 1.5배로, 30개국 중 7위 수준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