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기 하반기 반등 가능성…KDI "경기 저점 시사 지표 늘어"

경기 하반기 반등 가능성…KDI "경기 저점 시사 지표 늘어"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그간 부진했던 경기가 조만간 저점을 지나 반등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KDI는 오늘(11일) 발간한 '6월 경제 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부진한 상황이나, 경기 저점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수출이 줄긴 했지만, 반도체와 대 중국 수출 감소 폭이 축소되는 등 경기 부진이 심화하지는 않았고, 소비 심리와 물가도 양호하다는 평가입니다.

이는 하반기에 상반기보다 경기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정부 전망에 부합합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8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하반기로 가면서 (경제가) 서서히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제가 생각하기에는 터널의 끝이 그리 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KDI는 "반도체는 재고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여전히 위축된 모습"이라면서도 "반도체 수출 금액과 물량의 감소세가 일부 둔화하는 가운데 대중국 수출 감소 폭이 축소되는 등 수출 부진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도체 수출 금액의 전년 동월 대비 감소 폭은 4월 -41.0%에서 지난달 -36.2%로 축소됐습니다.

대중국 수출액 역시 감소 폭이 4월 -26.5%에서 5월 -20.8%로 축소됐습니다.

KDI는 "서비스업이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했고 소비 관련 심리 지수도 회복세를 보였다"며 "소비자 물가 상승세는 점차 안정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습니다.

4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가 전월 대비 2.3%감소하는 등 소비 증가세가 다소 약화했지만 5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8.0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간 점을 고려하면 소비 부진 완화를 시사하는 긍정적 신호는 유지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5월 소비자물가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전월(3.7%)보다 0.4%포인트(p) 내린 3.3%였습니다.

KDI는 설비투자에 대해서는 "투자 수요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건설투자의 경우 "높은 증가세가 유지됐지만 관련 선행지표의 부진은 향후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