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세 계약 맺은 예비 집주인이 매수 실패했다면?…대법 "세입자 임차권은 보호"

전세 계약 맺은 예비 집주인이 매수 실패했다면?…대법 "세입자 임차권은 보호"
주택 매수 예정인 집주인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후 예비 집주인이 주택 매수에 실패했더라도 세입자의 권리는 보호받을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세입자 A 씨가 집주인과 공인중개사 등을 상대로 낸 보증금반환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취지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수원지법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분쟁은 임대인 B 씨가 공인중개사를 끼고 다세대 주택 매수와 주택 임대 계약을 동시 진행하면서 불거졌습니다.

2016년 11월, 임대인 B 씨는 경기 광주시의 한 다세대 주택 전체를 매수하기로 건물주와 분양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후 세입자 A 씨는 이 건물 302호에 대해 2017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보증금은 8천900만 원으로 하는 전세 계약을 B 씨와 맺었습니다.

임대차계약서에는 "본 건물 소유자가 바뀌는 경우에도 임대차 내용 중 임대차 보증금, 임대차 기간, 임대차 보증금의 반환책임은 최초 계약대로 절대 보장하며, 임대차 계약 내용은 새로운 소유자에게는 포괄적으로, 구 소유자에게는 면책적으로 승계하는 것을 인정한다"는 내용의 특약이 포함됐습니다.

B 씨가 아직 잔금을 치르지 않아 건물에 대한 소유권이 완전히 이전되지 않았기 때문에 집주인이 바뀌는 상황에 대비해 넣은 세입자 보호 조항이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B 씨가 분양 대금을 제때 치르지 못하면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기존 건물주는 임대인 B 씨와의 분양 계약을 해제하고 새로운 매수인에게 A 씨가 임차한 호를 팔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세입자 A 씨가 임대인 B 씨와 맺었던 전세 계약의 승계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A 씨는 공인중개사와 기존 건물주, 새 집주인을 상대로 보증금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냈습니다.

그러자 새 집주인은 A 씨의 상대로 "무단 거주 기간만큼 월세를 지급하라"며 맞소송을 냈습니다.

1·2심은 전세 보증금을 보관하고 있던 공인중개사가 A 씨에게 보증금을 돌려주고, A 씨는 새 집주인이 집을 산 시점부터 계산해 약 42만 원의 월세를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A 씨가 주택 매수 예정자였던 B 씨와 맺은 전세 계약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은 겁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정반대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당시 임대인인 B 씨에게는 적법하게 집을 빌려줄 권리가 있었다고 인정했습니다.

건물주와 분양계약을 체결하면서 주택에 관한 임대 권한을 부여받았고 잔금도 일부 치렀다는 이유였습니다.

따라서 A 씨는 적법한 임대차 계약을 맺었고 전입 신고까지 마쳤으므로 A 씨의 임차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A 씨는 전세 보증금 반환을 새 집주인에게 요구할 수 있고 무단 거주를 전제로 하는 월세를 낼 이유도 없다고 대법원은 판단했습니다.

민법 548조 1항에 따르면 계약을 해제해 채권·채무 등이 소멸하더라도 제3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는 없다고 돼 있는데, 대법원은 주택 분양 계약 당사자 간의 계약이 해제되더라도 적법하게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제3자, 즉 임차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는 의미로 이 조항을 해석했습니다.

원고 측 대리인인 황귀빈 부동산 전문 변호사는 이번 판결에 대해 "전세 사기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이른바 '동시 진행' 신축빌라 분양 관련 분쟁 사건을 비롯해 여러 임대차 분쟁 실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