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어색하게 걷거나 절뚝거리면? 이걸 의심해보자

[반려동물삐뽀삐뽀] 소형견의 고질병 - '슬개골 탈구'의 모든 것 (수의사 : 김나연)

스프 반려동물 삐뽀삐뽀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에게 신체검사를 받다가 '슬개골 탈구'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 경험이 있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슬개골 탈구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키우는 소형견 품종의 개에게 흔히 나타나는 정형외과 질환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개의 슬개골 탈구 질환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슬개골 탈구란?

스프 반려동물 삐뽀삐뽀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종자뼈(sesamoid bone)는 근육의 힘줄 쪽에 포함되는 독립된 뼈를 일컫는 말인데, 종자뼈는 뼈와 힘줄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어 운동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슬개골은 대표적인 종자뼈 중 하나로, 몸에서 가장 큰 종자뼈입니다. 슬개골은 사람에게도 존재합니다. 바로 사람의 무릎 정 중앙에 만져지는 무릎뼈가 슬개골입니다. 슬개골이 있어서 부드럽게 다리가 움직일 수 있는 셈이지요.

마찬가지로 개에게도 뒷다리 무릎 관절의 중앙에 슬개골이 위치해 있습니다. 슬개골은 본래 대퇴골 고랑이라는 움푹 파인 곳 사이에 위치합니다. 정상적으로 슬개골은 이 위치에 안락하게 들어 있으면서 대퇴사두근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소형견의 경우 체구가 작다 보니 대퇴골의 크기도 자연스레 작고, 대퇴골 고랑의 깊이도 얕습니다. 고랑이 얕기 때문에 여기에 안착해 있지 못하고 빠질 확률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지요. 슬개골이 본래의 위치를 벗어나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슬개골 탈구'라고 부릅니다. 개의 경우 보통 안쪽 방향으로 슬개골 탈구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가 일어나면 무릎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에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걸음걸이에 문제가 발생하고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슬개골 탈구를 가진 개가 보이는 대표적인 증상은 걷거나 뛰는 도중에 뒷다리를 굽힌 상태로 한두 걸음 어색하게 걷는 증상을 들 수 있습니다. 다리에 무게를 싣지 않고 걷거나 절뚝거리는 증상 등의 보행 장애들도 주로 관찰되는 증상입니다.
 

슬개골 탈구의 4단계

스프 반려동물 삐뽀삐뽀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슬개골 탈구는 심각성에 따라서 1단계에서 4단계까지로 나누기도 합니다. 1단계가 가장 경미한 단계이고, 4단계는 가장 심한 상태입니다. 각 단계의 구분은 수의사가 신체검사 시 슬개골을 직접 만져보면서 평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임상 증상만으로 슬개골 탈구의 정확한 단계 평가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매칭이 되는 증상을 살펴보면, 1단계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거의 탈구가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2단계의 경우 슬개골이 가끔씩 탈구되었다가 다시 돌아가는 것을 반복하는 상황입니다. 일시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반려견이 움직이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무릎을 굽혔다가 다시 원래의 정상적인 보행을 보이는 증상이 흔합니다.

3단계는 슬개골이 대체로 탈구된 상태로 위치하고, 간혹 정상 위치로 돌아오는 상태입니다. 뒷다리를 절뚝거리는 증상이 나타나며,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는 움직임을 꺼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4단계는 가장 심한 상태로 슬개골이 완전히 탈구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기 어려운 상태에 해당됩니다.
 

슬개골 탈구, 치료법은?

슬개골 탈구는 슬개골 탈구의 단계와 보행 평가, 나이 등을 종합하여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됩니다. 반려견이 슬개골 탈구 증상이 뚜렷하고, 통증이 있고, 아직 어린 나이라면 수술을 통한 교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