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계경보 대혼란' 외에도 알아야 할 이번 북한 발사체의 의미

이제 북한은 ICBM 기술보다 정찰위성이 더 필요한 시점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실패했습니다. 우리 군은 북한이 5월 31일 아침 6시 29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고, 이 발사체가 어청도 서쪽 200킬로미터 해상에서 비정상적 비행으로 추락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2시간 반 만에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무슨 상황인데?


북한은 당초 일본 해상보안청에 5월 31일부터 6월 1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다가 리병철 당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명의로 '6월 발사'를 언급했습니다.

6월 발사라고 하면 5월 31일은 제외되기 때문에 31일 발사는 없을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을 했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속임수였습니다.

한미일 정보당국의 감시를 느슨하게 하게 하기 위해 31일 발사를 염두에 두고도 일부러 6월 발사를 흘린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나름대로 머리를 굴려 가며 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발사는 실패했습니다.

좀 더 설명하면


북한 발표를 보면 1단 추진체 분리 이후 2단 엔진의 비정상이 문제였다고 합니다. 신형 엔진의 안정성이 떨어진다고 밝힌 것으로 보아 새로 만든 신형로켓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북한의 위성 발사 능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북한은 어제(31일) 이전에 장거리 로켓을 6번 발사했는데, 가장 최근에 있었던 두 번, 즉 2012년 12월과 2016년 2월에는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물론 이 두 번의 경우도 궤도에 올라간 위성이 제대로 된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지만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능력 자체는 북한이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북한이 빠른 시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한다고 했기 때문에 그리 머지않은 시기에 추가적인 발사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이번 발사가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심각한 도발이라고 규탄했습니다. 미국도 북한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한 걸음 더


북한,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 공개 (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이렇게 국제사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찰위성을 발사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바로 직전 발사였던 2016년 2월 발사 때까지만 해도 위성을 빙자한 장거리 로켓 발사로 장거리탄도미사일, 즉 ICBM 기술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분석을 했습니다.

3단 추진체에 위성을 싣고 우주 궤도에 진입시키느냐 3단 추진체에 탄두를 싣고 대기권 재진입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느냐를 제외하고는 위성을 실은 로켓이나 ICBM의 기술적 차이가 사실상 없기 때문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