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IT인력, 미국 기업에도 신분 속여 취업…WMD자금 연 5억 불 기여"

"북한 IT인력, 미국 기업에도 신분 속여 취업…WMD자금 연 5억 불 기여"
▲ 정 박 미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IT 인력을 활용해 불법외화벌이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미국 기업에도 취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는 현지시간 24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북한 IT 인력 활동 관련 한미 공동 심포지엄'에서 "이미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북한 IT 인력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들이 미국 기업에 고용되기도 했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인 기업 이름은 언급하지 않고 "이들 기업 중 일부는 해킹까지 당해 장기적인 피해를 봤다"며 "이들은 아시아에서 중동, 아프리카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들이 버는 돈의 90%는 90%는 북한 정권에 징수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북한 IT 인력들이 불법적으로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 부대표는 "유엔 추산에 따르면 이들 IT 인력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해마다 5억 달러 이상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들은 해킹을 위한 웹사이트를 개발해 북한 해커들을 지원하고, 심지어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관련 물품 조달도 도왔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최근 미국 법무부는 북한 IT 인력이 미국 시민으로 신분을 위장해 미국 기업에 취업한 사례를 적발했다"며 "이와 같은 일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들은 보이스피싱 프로그램과 탈취한 개인 정보를 범죄조직에 판매하는 등 불법적인 활동에 관여함으로써 공공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도 강조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핵실험에 따른 유엔 제재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북한이 IT 인력을 통해 불법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는 사례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외교부는 어제 북한 IT 인력의 국외 외화벌이 활동에 직접 관여해 온 북한 기관 3곳과 개인 7명을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도 개인 1명과 기관 4곳을 제재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