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마이크론 제재, 동맹과 공동 대응"…한국 압박?

<앵커>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 제품에서,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생했다며 중국 정부가 최근 제재에 나섰죠. 미 백악관은 '근거 없는 조치'라며 동맹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 미 의회에서는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한국 기업이 채워서는 안 된다는 말도 나왔습니다.

워싱턴 김윤수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 백악관은 중국이 마이크론 제품에 보안 문제가 발견됐다며 일부 구매를 제한한 건 근거가 없는 조치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해당 제재가 주요 7개국, G7 폐막일에 맞춰 발표된 만큼 다분히 의도가 있는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존 커비/미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 중국의 조치는 경제적 강압에 맞서기 위해 G7이 히로시마에서 취한 강력한 입장을 약화하려는 시도라는 게 분명합니다.]

미국의 잇단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등에 대한 보복 규제라는 겁니다.

특히, 중국은 3년 전부터 단계적으로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축소하고, 중국이나 한국산 반도체로 대체해 왔던 걸로 알려졌습니다.

제재로 인한 공급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해 준비를 해왔다는 얘기입니다.

백악관은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맞서기 위해 동맹과 공동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존 커비/미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 중국의 조치로 야기되는 반도체 시장의 왜곡에 대처하기 위해 G7 내부의 동맹과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을 지속할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 의회에서는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한국 등 외국 기업이 채워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중 양국 간 주고받기식 경제 규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내일 두 나라 상무장관이 만나기로 해 논의 결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정식, 영상편집 정용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