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분기 합계출산율 0.81 '역대 최저'…혼인 건수 최대폭 상승

1분기 합계출산율 0.81 '역대 최저'…혼인 건수 최대폭 상승
올해 1분기 합계 출산율이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습니다.

3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41개월째 감소했습니다.

오늘(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1∼3월 0.81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역대 가장 적은 수준으로, 기존 최저치인 지난해 1분기(0.87명)보다도 0.06명 적습니다.

합계출산율은 2019년 1분기 1.02명을 기록한 이후 16개 분기 연속 1명을 밑돌고 있습니다.

연초에 출생아 수가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통상의 추세를 고려하면 하반기 합계출산율은 더 내려갈 가능성이 큽니다.

1분기 출생아 수(6만 4천256명)도 작년 동기보다 4천116명(6.0%) 줄어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였습니다.

3월 출생아 수는 2만 1천138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천864명(8.1%) 감소했습니다.

역시 동월 기준 최저 기록입니다.

1분기 출산 여성의 연령을 보면 30∼34세 여성의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이 76.0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만 82.7명이었던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6.7명 줄었습니다.

25∼29세 출산율도 23.6명으로 작년보다 3.6명 감소했습니다.

24세 이하 출산율도 2.3명으로 0.5명 줄었습니다.

반면 35∼39세 여성의 출산율은 48.4명으로 작년보다 0.6명 상승했습니다.

40세 이상도 4.5명으로 0.1명 늘었습니다.

여성의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둘째·셋째를 낳지 않는 경향도 이어졌습니다.

1분기 출생아 수 구성비를 보면 첫째 아이가 전체의 63.8%를 차지해 작년 동기 대비 2.1%포인트(p) 늘었습니다.

둘째와 셋째 아이 이상은 각각 1.7%P, 0.4%P 감소했습니다.

시도별 합계 출산율은 전남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했습니다.

1분기 사망자 수는 8만 9천15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만 4천738명(14.2%)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폭증의 원인이었던 코로나19 사태가 사실상 종식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3월 기준 사망자 수도 2만 8천922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만 5천689명(35.2%) 줄었습니다.

다만 여전히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3월 인구는 7천784명 자연 감소했습니다.

2019년 11월부터 시작된 자연 감소 추세가 41개월째 이어졌습니다.

1분기 혼인 건수는 5만 3천964건이었습니다.

지난해 동기보다 8천590건(18.9%) 늘어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3월 혼인 건수도 1만 8천192건으로 작년 동월보다 2천876건 늘었습니다.

동월 기준 가장 상승 폭이 컸습니다.

코로나19로 급감했던 결혼 수요가 연초부터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1분기 이혼 건수는 2만 2천734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362건(1.6%) 늘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