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 해킹 논란' 선관위, 지난해 사이버 공격 4만 건 당해

'북 해킹 논란' 선관위, 지난해 사이버 공격 4만 건 당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작년 한 해에만 약 4만 건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4일) 국민의힘 장동혁 의원실이 선관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선관위는 2022년 3만 9천896건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습니다.

선관위가 받은 사이버 공격 건수는 2019년 2만 27건에서 2020년 2만 5천187건, 2021년 3만 1천887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올해 4월까지도 9천759건의 사이버 공격을 당했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작년에는 의도적으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서비스 거부 시도'가 1만 1천111건에 달했습니다.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이 대표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입니다.

선관위는 사이버 공격 피해 현황에 대해서는 "해당 사항이 없어 자료를 제출하지 못한다"고 답변했습니다.

연간 약 4만 건에 달하는 사이버 공격에도 피해는 없다는 취지입니다.

선관위는 "사이버 공격 시도 발생 시 침입 탐지 및 차단 시스템 등 사이버 보안시스템을 운영해 즉시 차단하고 있다"며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통합보안관제를 통해 사이버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선관위가 사이버 공격 피해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앞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만희 의원은 선관위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 시도 7건 중 6건은 인지조차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지적이 잇따르자 선관위는 어제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3자 합동으로 보안 컨설팅을 수행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장 의원은 "북한의 몇 차례 해킹 공격도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는 선관위가 매년 수만 건씩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선관위는 국정원 등 객관적인 기관의 정밀 합동 점검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