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수리 충돌' F-35A 1천억 원 넘는데…폐기도 검토

'독수리 충돌' F-35A 1천억 원 넘는데…폐기도 검토
지난해 1월 기체 이상으로 활주로에 비상착륙한 5세대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A의 손상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군은 22일 "사고시 조류 충돌과 동체착륙, 화재 등으로 인해 항공기의 엔진 및 기체, 기골의 다수 부위가 손상됐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청주기지를 이륙한 F-35A는 사격장 진입을 위해 약 330m 고도에서 비행하던 중 독수리와 충돌했습니다.

독수리가 기체 격벽(차단벽)까지 뚫고 좌측 공기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면서 이착륙 때 제동 역할을 하는 랜딩기어 작동 유압도관과 전원 공급배선, 바퀴 등이 파손됐습니다.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던 상황에서 조종사는 서해 해안선을 따라 공군 서산기지로 접근해 활주로에 동체착륙했습니다.

동체착륙은 비행기의 동체를 직접 활주로에 대어 비상착륙하는 방식으로 '배꼽 착륙'이라고도 합니다.

마찰열에 의한 화재 발생에 대비해 공중에서 연료를 최대한 비워야 하며 고도로 숙련된 조종 기술이 필요합니다.

다행히 당시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사고가 난지 1년이 넘게 지난 가운데 공군은 손상된 F-35A에 대해 제작사인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과 수리복구 문제를 놓고 논의 중입니다.

업체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종류의 사고였던 만큼 우리 군이 수리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 수리 비용은 1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2019년 3월 국내 인도된 F-35A 가격인 1억 달러(약 1천300억 원)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군은 손상된 기체를 폐기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군 관계자는 "현재 수리복구 관련 소요 비용과 복구 방안 등에 관해 미 정부 사업단 및 록히드마틴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며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으며, 수리복구 여부가 결정된 후 항공기 활용 계획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공군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