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첨단 시스템 있어도 '시큰둥'…'응급실 뺑뺑이' 여전한 이유

<앵커>

응급 병상을 찾지 못해 병원 여러 곳을 헤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최근 여러 첨단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같은 첨단기술을 응급구조체계에 적용하는 건데, 정작 현장에선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이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환자를 태운 구급차 안에서 구급 대원이 혼잣말을 합니다.

[구급 대원 : 협심증으로 심장질환 진단받으셨고,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약 드시고 계신다고요?]

대원의 말이 단말기에 자동 입력되고 이 정보는 근처 응급실에 전송됩니다.

원주에서 시범운영 중인 이 시스템은 단 한 병원만 연결돼 있는데, 대상 병원을 늘리면 응급실 찾느라 헤매는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응급실 직원 : 이송 요청 왔네요. 저희 수락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송 요청을 한 응급실로 바로 가면 되기 때문입니다.

구급대원이 환자 상태를 입력하면 119 상황실, 병원 응급실과 즉시 공유해 '응급실 뺑뺑이'를 예방하는 기술도 이미 개발돼 지난 3월 시작 행사까지 열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시스템들은 현장에 본격 도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 한 대형병원 의사는 "상당수 병원들이 구급차에 있는 환자 상태를 자신들 병원 응급실과 바로 공유하는 것을 꺼려한다"고 털어놨습니다.

"여러 병원들이 현재 유지하고 있는 당직 체계 등 응급실의 능력을 실제보다 부풀려 복지부 등에 보고하고 있는데, 정부 응급의료기관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아 보다 많은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런데 새 시스템을 도입하면 응급실의 거절 기록이 고스란히 남게 돼, 보고 부풀리기가 드러나거나 응급의료기관 평가 근거로 활용될 수 있어 이를 염려한 병원들이 도입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시스템을 운용해야 할 소방과 병원의 껄끄러운 관계도 걸림돌입니다.

[시스템 개발 관계자 : 문제는 소방과 병원이 안 친해요. 이송환자가 만약 사망에 이르렀다고 하면 이게 누구의 잘못이냐 하는 것에 (서로에) 대한 불만, 그것을 뚫기가 너무 어려웠거든요.] 

시스템 개발을 지원하는 정부 주체도 과기부, 국토부, 복지부까지 제 각각으로 전국 단위, 적어도 인접 시도로는 시스템이 통합돼야 제 기능을 하는데, 이를 위해선 시간과 돈이 추가로 들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