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어린이날 연휴에 쓰러진 5살 아이…"병실 없다" "진료만"

<앵커>

우리 응급의료 체계를 짚어보고 대안을 찾아보는 연속 보도. 오늘(16일)은 어린이 응급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얼마 전 어린이날 연휴에 5살 아이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열이 나고 기침이 심해서 구급차를 타고 병원에 갔지만, 돌아온 답은 당장 병실이 없다, 입원은 안 되고 진료만 가능하다였습니다.

먼저 김민준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6일 밤 서울 군자동 한 골목.

어머니가 아이를 끌어안고 구급차로 뛰어갑니다.

갑자기 열이 오르고 호흡이 가빠진 것입니다.

[엄마 : 40도. 열이 잘 안 떨어지고 애가 기침을 콜록콜록 아픈 기침(을 하니까)….]

5살 아이도 '응급실 뺑뺑이'에서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가장 가까운 대학병원으로 향했지만, 빈 병상이 없었습니다.

[아빠 : (구급대원이) 응급실 안까지 들어가셔서 담당하시는 분하고 (대화를 했는데), 5시간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구급 활동 일지에는 응급실 찾아 헤맨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첫 대학병원 포함 4곳에서 병상이 없거나 진료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입원 없이 진료만 받겠다'는 조건을 달고 간 5번째 병원.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라는 진단을 받고 치료받은 뒤 다음 날 새벽 귀가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계속 숨쉬기 힘들어하고 처져서 전날 갔던 응급실에 전화했지만, 또 입원이 어렵다는 말이 돌아왔습니다.

[엄마 : 어제 후두염으로 해서 응급 진료를 받았거든요.]

[병원 : 후두염이면 입원해야 될 수도 있어서. 진료는 되는데 입원 안 돼요. 가능하실까요?]

진료라도 받기 위해 응급실 갈 채비를 하던 중 아이는 화장실에서 갑자기 쓰러졌습니다.

[엄마 : '엄마, 쉬가 안 나와' 하더니 갑자기 주저앉는 거에요. '엄마, 나 목소리 왜 이래' 그러더니 그냥 바로 1초도 안 돼서….]

구급차를 타고 가까운 응급실로 갔지만, 아이는 도착 40여 분 만에 숨졌습니다.

[아빠 : 대한민국 서울 한복판에서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병실이 없다고 해서 진료가 거부되고 그런 현실이 참….]

(영상취재 : 김남성, 영상편집 : 이승진)

▶ 소아과 하겠다는 의료진 없는데 병원 숫자 늘린단 대책?
▶ 아픈 5살 아이가 그날 밤 헤맨 응급실들…대체 어땠길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