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남국 코인 논란 수사 가능성에 P2E 띄우던 게임계 '긴장'

김남국 코인 논란 수사 가능성에 P2E 띄우던 게임계 '긴장'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수십억대 가상화폐 '위믹스' 보유 논란이 P2E(Play to Earn·플레이로 돈 벌기) 게임 규제 완화를 노린 '입법 로비 의혹'으로 번지면서 게임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오늘(15일) 법조계와 게임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이준동 부장검사)는 김 의원의 전자지갑에 담긴 위믹스 코인의 출처와 거래 전후 자금 흐름을 추적하기 위한 압수수색 영장을 조만간 재청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지난해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김 의원의 코인 의심 거래 명세와 관련 자료를 넘겨받고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달아 두 차례 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에 의해 기각된 바 있습니다.

위믹스 투자자 20여 명도 지난 11일 '위메이드가 위믹스 발행 과정에서 허위 사실로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줬다'며 장현국 대표를 사기·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고소한 상태입니다.

검찰이 추후 영장을 발부받아 김 의원의 가상화폐 거래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나면, 수사의 초점은 김 의원이 지난해 100억 원대에 달하는 위믹스를 보유·거래했던 경위에 맞춰질 전망입니다.

이 과정에서 김 의원이 위메이드나 그 관계사로부터 위믹스를 대량으로 지급받은 정황이 드러날 경우, 검찰이 위메이드에 대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착수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르M' 글로벌판 출시 당시 위메이드가 진행한 위믹스 100만 개 에어드롭 이벤트

가상화폐 업계에서는 김 의원이 비트코인·이더리움 등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던 '김치코인' 위믹스를 한때 위메이드 대표보다 많은 분량까지 보유한 배경에 대해 '프라이빗 세일'이나 '에어드롭'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됐던 것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합니다.

실제로 김 의원은 에어드롭 방식으로도 일부 가상화폐를 받았던 것으로 민주당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습니다.

프라이빗 세일은 가상화폐 발행사가 일부 투자자들에게 코인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것으로, 주로 상장 전에 이뤄집니다.

에어드롭은 이벤트나 마케팅 차원에서 신규 코인을 무상으로 주는 행사입니다.

위믹스 재단의 올해 1분기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위메이드는 2020년 10월 빗썸에 상장되기 이전 5천190만 개 분량의 위믹스를 투자자들에게 '프라이빗 세일' 방식으로 유통해 프로젝트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위메이드는 이후 추가 거래소 상장, 신작 게임 및 플랫폼 출시 때마다 적게는 수만 개에서, 많게는 1백만 개의 위믹스를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배분하는 에어드롭 행사를 진행해왔습니다.
국내 게임사가 밀집한 경기 성남시 판교역 주변

게임 업계에서는 위메이드에 대한 검찰 수사가 현실화할 경우, 그간 신산업으로 보고 투자해온 블록체인 게임 산업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습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이사회에 부회장사 자격으로 참여하는 12개 국내 대형 게임사는 모두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네오위즈·넷마블·위메이드·카카오게임즈·컴투스는 자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고, 넥슨코리아·NHN·웹젠·펄어비스·크래프톤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게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P2E와 줄곧 거리를 둬온 엔씨소프트·스마일게이트도 블록체인 기업에 투자한 적 있습니다.

한 국내 게임사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블록체인 게임의 가능성을 보기보다는 투기·로비 수단으로만 몰아가는 것 같아 난감하다"며 "규제 완화 논의도 당분간은 사그라들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위메이드 글로벌' 유튜브 채널 캡처, 성남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