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중 외교안보 수장 회동…'갈등 관리' 모색하나

<앵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나날이 깊어지는 가운데 두 나라 외교·안보의 핵심 인사가 제3국인 오스트리아에서 전격 회동했습니다. 두 나라 모두 전략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히면서 미·중 관계에 변화의 물꼬가 트일지 관심이 쏠립니다.

워싱턴에서 김윤수 특파원입니다.

<기자>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났습니다.

지난 2월 정찰 풍선 사태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이 전격 연기된 이후 석 달 만에 미중 외교 안보 수장이 회동을 가진 겁니다.

백악관은 두 사람이 이틀 동안 미중 관계를 비롯해 우크라이나 전쟁, 타이완 문제 등을 놓고 건설적인 대화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베단트 파텔/미 국무부 부대변인 : 이번 회동은 열린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경쟁을 책임 있게 관리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입니다.]

양측은 향후 전략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미중 관계의 장애물을 제거하고, 관계 악화를 중단시키기 위한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졌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한미 정상회담 결과물인 워싱턴 선언을 놓고 중국의 날 선 반응이 이어졌던 만큼 관련 논의가 이뤄졌는지도 관심사입니다.

미 국무부는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한국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에 대해 한미일 삼자 논의를 통한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베단트 파텔/미 국무부 부대변인 :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이런 문제 등을 삼자 논의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 일본과 중요하고 긴밀한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도 중국 국방부장에게 회담을 제안했다고 밝혀 꽉 막힌 미중 관계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정성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