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40년 대입 인원, 2020년보다 40%↓…강력한 구조개혁 필요"

"2040년 대입 인원, 2020년보다 40%↓…강력한 구조개혁 필요"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하는 대학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강력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9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남두우·김정호 인하대 교수, 박기찬 인하대 명예교수는 내일 서울 중구 세브란스빌딩에서 열리는 '대학 퇴출 및 통폐합의 방향과 과제 정책 포럼' 발제 자료에서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발제 자료에 따르면 2040년 대학 입학 가능 인원은 28만 명으로 2020년(46만 명) 대비 39.1% 급감하고, 신입생 미충원 규모는 20만 명으로 예상돼 대학 구조조정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발제자들은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화로 먼저 대학 구조개혁에 나선 일본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봤습니다.

2018년 이후 대학 구조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일본은 전체 사립대를 대상으로 변화하고 도전하는 대학에 다양한 지원을 하는 한편, 경영 위기 대학 중 통폐합으로 경영 개선을 추진하는 대학에 경영 지원을 제공합니다.

퇴출 가능성이 높은 대학에 대해서는 조기 경영진단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도를 강화합니다.

발제자들은 국내의 경우 노무현∼박근혜 정부 때 대학 정원이 16만 8천 명 감축됐으나 문재인 정부 때 감축 규모는 1만 2천 명에 그쳤다고 지적하며 "온건한 구조조정보다 강력한 구조개혁으로 성장 가능 대학과 퇴출 대상 대학을 분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2040년 신입생 미충원 예상 규모를 고려해 대학 퇴출·감축 목표를 실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자발적으로 퇴출이 어렵고 혁신 능력도 부족한 지방 사립대는 일본의 사례처럼 인근 대학과 통폐합할 수 있도록 지방거점 네트워크 연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아울러 대학 통폐합과 정원 감축을 교육의 질적 개선 계기로 삼고, 대학 구조개선을 위해 관련 법을 조속히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