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30배 폭증한 재난문자…'재난문자 송출' 손 본다

130배 폭증한 재난문자…'재난문자 송출' 손 본다
수시로 울리는 재난문자로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자 정부가 재난문자 송출 서비스를 정비합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피로감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부터 재난문자 발송을 줄이고 긴급하고 필요한 정보만 송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빙판길 조심' 등 단순 안내는 이제 발송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2005년 시작된 재난문자 서비스는 경중에 따라 위급문자(전시 상황, 공습경보, 규모 6.0 이상 지진 등 국가적 위기), 긴급문자(태풍, 화재 등 자연·사회재난), 안전안내문자(겨울철 안전운전 등 안전 주의가 필요한 경우)로 나뉩니다.

재난송출 문자 개선 (사진=연합뉴스)

2019년까지 연평균 414건 송출됐지만 2020년부터 코로나19 안내문자 발송에 따라 2022년까지 3년간 연평균 5만 4천402건으로 131배 급증해 재난문자 확인에 대한 피로감이 커졌습니다.

실제로 지난 1월 강화도 해상에서 규모 3.7 지진이 일어났을 때 재난문자 알림에 많은 수도권 주민이 불편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과다한 재난문자가 오히려 경각심을 떨어트린다는 지적에 따라 필요성과 상황에 맞는 송출기준으로 개선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행안부는 기상청, 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재난문자 송출기준 개선방안을 마련했습니다.

2021년 4월부터 호우, 태풍, 대설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에는 '대설주의보'에도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있지만 단순 안전운전 안내가 많아 불편하다는 지적에 '빙판길 조심' 등 단순 안내는 발송하지 않고 도로통제 시에만 문자를 보내도록 한 규정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행안부는 개정한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규정을 다음달 15일부터 수도권에서 시범운영한 뒤 내년 5월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