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규제 풀리자 분양가 '껑충'…소형아파트 3.3㎡당 2천만 원 돌파

규제 풀리자 분양가 '껑충'…소형아파트 3.3㎡당 2천만 원 돌파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올해 들어 분양 경기 침체에도 전국 아파트 분양가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게 인기가 높은 전용면적 60㎡의 분양가는 3.3㎡당 2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최근 분양시장에 미분양 경고등이 커진 가운데 분양가 인상이 분양 시장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오늘(8일) 부동산R114가 청약홈에 공개된 아파트 청약 단지의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4월까지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1천699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평균 1천521만 원 대비 11.7%, 2017년의 1천161만 원 대비 46.3% 오른 것입니다.

아파트 분양가는 최근 자재비, 인건비 등 공사비 상승과 고금리 여파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연초 규제지역 해제로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이 강남·서초·송파·용산구 등 4곳으로 대폭 축소되면서 고분양가 단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사실상 분양가를 통제하던 '고분양가 관리지역'도 연초 대규모 규제지역 해제에 따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축소돼 이들 4곳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분양가 책정에 제약이 없는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올해 수도권 아파트 3.3㎡당 분양가는 평균 1천934만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1천774만 원)보다 9% 더 올랐습니다.

지방 아파트도 지난해 3.3㎡당 평균 1천371만 원에서 올해 1천476만 원으로 7.7% 상승했습니다.

특히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등 무주택 가구의 인기가 높은 소형 아파트 분양가 상승이 가팔랐습니다.

올해 전국 전용 60㎡ 이하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2천349만 원을 기록하며 2천만 원대를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1천938만 원 대비 21.2%, 2017년 1천198만 원에 비해서는 96.1%나 급등한 것입니다.

이는 경기도 아파트의 전용 60㎡ 이하 분양가가 지난해 1천817만 원에서 올해 2천545만 원으로 크게 오른 영향이 큽니다.

지난달 24일 모집공고를 내고 이달 8일 1순위 청약에 들어가는 광명시 광명자이더샵포레나 아파트는 전용면적 49.8㎡ B형(공급면적 68.41㎡)의 기준층 분양가가 5억 4천440만∼5억 9천550만 원으로 3.3㎡당 2천630만∼2천880만 원에 달합니다.

부산의 60㎡ 이하도 지난해 3.3㎡당 1천697만 원에서 올해 2천53만 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해운대역 푸르지오 더원 견본주택 모습 (사진=대우건설 제공, 연합뉴스)

지난 3월 분양한 부산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역 푸르지오 더원 59.9㎡ B형(공급면적 85.9㎡)은 분양가가 최저 5억 8천200만 원부터 최고 8억 1천800만 원으로 3.3㎡당 분양가가 2천240만∼3천149만 원입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부산 인기 지역인 해운대구 일대와 올해 분양가 상한제 규제가 풀린 광명시 등에서 분양가가 높게 책정되며 올해 특히 소형 아파트 분양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며 "전용 60㎡ 이하의 인기가 높은데, 일반분양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고분양가 책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올해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5.78대 1로 작년(7.49대 1)보다 낮아졌지만, 전용 60㎡ 이하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지난해 7.21대 1에서 올해 8.24대 1로 높아졌습니다.

이는 올해 전 면적을 통틀어 가장 높은 경쟁률입니다.

이에 비해 올해 전국에서 분양된 약 3만 4천 가구 중 전용 60㎡ 이하의 분양물량은 6천371가구로 전체의 18.8%에 그쳤습니다.

전용 60∼85㎡ 이하는 가장 많은 2만 2천226가구로 65.5%를 차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분양 경기 침체로 미분양 증가 위험이 커진 가운데 분양가 상승이 분양시장에 악재가 될 것으로 우려합니다.

특히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젊은 층의 청약을 통한 내 집 마련은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5월부터 분양 물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면 최근 주춤하던 미분양 증가세가 다시 가팔라질 수 있다"며 "분양가가 낮고 입지 여건이 좋은 곳은 청약자가 몰리는 반면, 비인기 지역이나 고분양가 단지는 외면받는 등 청약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