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S&P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1% 전망…내년 기준금리 인하"

S&P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1% 전망…내년 기준금리 인하"
▲ S&P 기자간담회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제시했습니다.

가계 부채가 한국 경제의 부담 요인으로 지적됐고, 반도체 업황은 올해 하반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오늘(3일) 루이 커쉬 S&P 전무는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한국 경제는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최근 관련 경제 지표들을 보면 이와 일관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당국에서 원하는 만큼은 아니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어느 정도 통제되는 상황"이라며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를 단기간 내에 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내년쯤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인구 변화, 생산성 악화 등으로 과거와 비교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질 여지가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2%대에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내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추정됐습니다.

커쉬 전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빠르게 둔화시킬 여지는 적다고 보여 올해 금리를 내리기는 어렵고 내년에야 인하로 돌아설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는 올해 작년보다 더 둔화한 성장세와 고금리가 유지되는 경제 환경이 전망된다"고 부연했습니다.

한국의 국가부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가계부채 부담은 큰 것으로 진단됐습니다.

킴엥 탄 S&P 상무는 "코로나19 여파로 각국의 국가부채가 상승했고 아시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상승률이 높았다"면서도 "다행히 한국은 국가부채가 크게 상승하지 않아 비교적 상승률이 낮은 편"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 공공기관의 부채는 최근 증가해 2013∼2018년 지속해서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뤘습니다.

이는 에너지 가격 등이 상승했지만 이를 감당할 정도로 이용 요금이 조정되지 않은 데 따른 것입니다.

탄 상무는 "이런 기조가 지속하면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 대한 대응이 끝난 후 정부가 공공기관 부채를 줄어나갔던 것을 고려하면 한국도 경제가 좀 더 안정화하면 부채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봤습니다.

또 "가계 부채 수준은 한국이 전 세계 3위 수준"이라며 "고금리 상황이 지속하거나 금리가 인상되면 가계 소득 중 더 많은 부분이 이자 지급에 사용돼 내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나아가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 부채 문제와 맞물려 경기가 둔화하거나 악화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금리 수준이 다른 국가 대비 여전히 낮아 이자 부담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국가 신용등급 AA)으로 유지됐습니다.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위험은 저축은행과 증권사, 여전사 등에 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정홍택 S&P 상무는 "지난해 은행은 부동산 PF 익스포져(위험노출액) 규모를 2008년 대비 많이 축소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늘렸다"며 "은행과 보험은 아파트 등 비교적 안정적인 PF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 증권사는 위험한 상업용 PF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황은 한동안 부진을 이어가다 올해 하반기부터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됐습니다.

박준홍 S&P 이사는 "반도체 업황은 더 악화하진 않겠지만, 재고 수준이 높다는 점에서 올해 2분기까지는 의미 있는 반등 신호가 없을 것"이라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과 SK하이닉스도 2분기 적자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반도체 업황이 부진한 시기가 아닌 해에도 1분기에 수요가 약하고 연 중반부터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며 "인공지능(AI) 등 산업에 의한 구조적인 수요 상승 요인이 있고, 공급 측면에서도 주요 업체에서 감산을 진행 중"이라고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하반기에는 어느 정도 반등이 예상된다"며 "반등 정도나 시기는 거시경제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