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보건당국 "외로움, 담배 하루 15개비만큼 해롭다" 경고

미 보건당국 "외로움, 담배 하루 15개비만큼 해롭다" 경고
▲ 비베크 머시 미국 의무총감

외로움을 비만이나 약물중독 같은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에서 나왔습니다.

비베크 머시 미국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 겸 의무총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 '외로움과 고립감이라는 유행병'에서 "최근 몇 년 사이 미국인 절반가량이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머시 의무총감이 소개한 여러 연구에 따르면 외로움은 조기 사망 가능성을 26∼29% 높입니다.

매일 담배 15개비씩을 피우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의미입니다.

심장병 위험도 29%, 뇌졸중 위험도 32% 커집니다.

고립됐다는 느낌이 불안감, 우울증, 치매와 연관되고, 바이러스 감염이나 호흡기 질환에 더 취약한 상태를 만든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에 질병이지만 일상에서 학업성취도와 업무 효율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외로움은 경제적인 문제로도 이어지는데 노인들의 고립감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가 미국의 메디케어(노인 의료보험)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연간 67억 달러(약 8조 9천800만 원)로 나타났습니다.

머시 의무총감은 현지시간 2일 영국 BBC방송에 출연해 "사회적 연결이 흡연과 같은 수준으로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을 알면 사람들은 놀랄지도 모르겠다"며 "외로움은 이제 진지하게 다뤄야 할 공중보건의 중대 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외로움 문제는 사람들 사이의 왕래가 줄어든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기를 거치며 더 심각해졌습니다.

머시 의무총감은 코로나19가 한창 확산하던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 사이에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가 평균 16% 줄었다는 연구결과를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머시 의무총감은 구멍 뚫린 사회 구조를 '꿰매는'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자원봉사 조직이나 스포츠·종교 모임 같은 프로그램과 대중교통·주거·교육정책, 도서관·공원·운동장 등 물리적 요소를 아우르는 지역 공동체 인프라 확충이 대표적입니다.

그는 사회적 고립의 영향에 관한 데이터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연구 의제를 수립하기 위해 '연결친화적' 공공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일도 있는데 사랑하는 사람들과 적어도 하루 15분씩은 보내기,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 주의를 흐트리는 기기를 멀리하기 등을 제시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