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연구소 "양육비 비싼 나라 1위가 한국…2위 중국"

중국 연구소 "양육비 비싼 나라 1위가 한국…2위 중국"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양육비가 비싼 나라는 한국이고, 그 뒤를 중국이 잇는다는 중국 연구소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베이징 인구·공공정책 연구기관인 위와인구연구소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에서 18세까지 자녀를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6.9배로 한국(7.79배)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독일(3.64배), 호주(2.08배), 프랑스(2.24배)의 2배에서 3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연구소는 중국에서 자녀를 한 명 낳아 17세까지 기르는 데 48만 5천위안, 우리 돈 약 9천4백만 원)이 들며 대학 졸업까지 시킬 경우에는 62만 7천위안, 약 1억 2천만 원)이 든다고 추산했습니다.

도농 격차도 극심해 중국 도시에서 자녀를 17세까지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63만 위안으로 농촌의 두 배 이상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베이징은 96만 9천위안(약 1억 8천800만 원), 상하이는 102만 6천위안(약 1억 9천900만 원)으로 추산했습니다.

반면 티베트에서 자녀를 17세까지 키우는 비용은 29만 3천위안(약 5천700만 원)이라고 봤습니다.

2021년 중국 당국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노동자의 평균 연봉은 10만 5천위안(약 2천만 원)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해 중국의 인구가 61년 만에 감소하고 출생률은 73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위와인구연구소는 "비싼 양육비가 자녀 출산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며 "가임기 가정의 출산 비용을 줄이는 정책이 국가 차원에서 도입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현금과 세금 보조·주택 구입 보조 같은 특정한 정책, 더 많은 탁아소 건설, 성평등 육아 휴직, 외국인 보모 도입, 유연 근무제 촉진, 싱글 여성의 출산권 보장, 난임 기술 지원, 대입 시험과 학교 체제 개혁"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앞서 2017년 중국 당국이 전국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가임기 여성의 77.4%가 나이가 너무 많거나 자녀를 돌봐줄 사람이 없다는 이유와 함께 '무거운 경제적 부담'을 자녀를 더 낳지 않는 이유로 꼽았습니다.

중국 당국은 각종 출산 장려책을 제시하며 출생률 제고를 위해 나섰지만 코로나로 인한 경제 둔화와 취업난 속에서 젊은 층의 호응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