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한옥은 중국 건축" 또 억지…중국 누리꾼 '댓글 테러'

[Pick] "한옥은 중국 건축" 또 억지…중국 누리꾼 '댓글 테러'
정부가 메타버스 콘텐츠 창작자들을 위해 무료로 개방한 한국 전통문화 데이터가 일부 중국 누리꾼들의 댓글 테러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오늘(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에픽게임즈가 운영하는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온 한옥 에셋(게임 제작에 쓰이는 모델링, 텍스처, 사운드 등의 데이터)에 중국 누리꾼들이 별점 '1점' 평가와 함께 "한국의 문화가 아니라 중국의 문화"라는 취지의 악성 댓글을 잇따라 올리고 있습니다.

중국 누리꾼들이 문제 삼고 있는 대상은 지난달 한국문화정보원이 업로드한 조선시대 전통 건축물 '창원의 집', '제주목관아'의 3D 모델, 각종 전통 문양 데이터 등입니다.

이러한 한옥 에셋은 완성도가 높고, 무료로 내려받아 게임에 적용할 수 있어 공개 직후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중국 누리꾼 악성 댓글 (사진=문정원, 연합뉴스)

이러한 평가는 중국 내부에도 전해지면서, 일부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 문화는 중국의 일부"라는 억지 주장이 담긴 댓글을 달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원색적인 욕설을 비롯해 "한국의 전통문양에는 한자가 많이 있다", "한옥은 중국 건축이다"라는 주장하는가 하면 "중국 문화를 홍보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했습니다.

현재 대다수의 악성 댓글이 이용자들의 신고를 받으면서 '부적절한 콘텐츠로 신고돼 검토 대기 중'이라는 안내 문구로 변경되었으나, 일부 댓글창에서는 여전히 중국 누리꾼들의 악성 댓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정원 관계자는 "일부 악성 댓글은 삭제됐지만, 여전히 중국어나 영어로 된 새로운 악성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며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사례를 수집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이 같은 중국의 억지 주장은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2020년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가 게임 '샤이닝니키'에 한국 출시 기념으로 한복을 추가하자 한 중국 누리꾼이 "중국 명나라 의상인 '한푸'(漢服)"라는 주장을 제기했으며, 이후 페이퍼게임즈는 곧바로 한복 의상을 삭제하고 한국 서버를 폐쇄한 바 있습니다.

올해 초에도 디즈니랜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음력설(Lunar New Year)'이라는 글을 게시했다가 중국 누리꾼들로부터 "중국설(Chinese New Year)로 바꾸라", "음력설 표기가 중국 어린이들에게 상처를 준다"라는 댓글 공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사진=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 캡처, 한국문화정보원,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