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 3년'간 20·30세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27%↑

'코로나 3년'간 20·30세대 빚 가장 많이 늘었다…대출 27%↑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동안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20·30세대로 확인됐습니다.

20대출은 3년 새 30% 가까이 불었고, 은행과 2금융권에서 각 대출자 한 명당 평균 7천만 원, 5천400만 원가량을 빌린 상태였습니다.

한국은행이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가계대출자 수는 모두 1천490만 명,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902조 2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면 대출자 수는 17.3%, 잔액은 17.7% 늘었습니다.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은행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의 가계대출 잔액도 같은 기간 8.7%(2019년 4분기 468조 5천억 원→2022년 4분기 509조 1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의 대출 잔액이 작년 4분기 현재 은행권과 2금융권을 합해 모두 514조 5천억 원(은행 354조 8천억 원+2금융권 159조 7천억 원)으로 추산됐습니다.

2019년 4분기 404조 원(은행 278조 1천억 원+2금융권 125조 9천억 원)보다 27.4%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30대 이하의 대출 증가율은 60대 이상(25.5%·288조 6천억 원→362조 1천억 원), 40대(9.2%·478조 4천억 원→522조 6천억 원), 50대(2.3%·451조 3천억 원→461조 6천억 원) 등 나머지 모든 연령층보다 높았습니다.

3년간 대출 증가액 역시 30대 이하(110조 5천억 원)가 1위였습니다.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대출잔액/차주 수)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도 20·30대였습니다.

우선 은행권에서 30대 이하 대출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2019년 4분기 5천980만 6천 원에서 3년 뒤 2022년 4분기 7천81만 8천 원으로 18.4% 증가했습니다.

40대(10.4%·9천379만 3천 원→1억356만 7천 원), 50대(3.5%·8천773만 9천 원→9천81만 9천 원), 60대 이상(2.1%·7천565만 원→7천725만 6천 원)이 뒤를 이었습니다.

2금융권에서도 30대 이하는 평균 5천413만 6천 원의 대출을 받고 있었는데, 2019년 4분기(4천101만 원)보다 32%나 뛰었습니다.

40대(18.1%·5천707만 원→6천737만 2천 원), 50대(4.7%·6천424만 1천 원→6천723만 1천 원), 60대 이상(3.0%·6천968만 5천 원→7천179만 5천 원)보다 월등히 높은 증가율입니다.

소득별로는 은행권이나 2금융권에서 모두 고소득자(소득 상위 30%)의 대출이 저소득자(하위 30%)보다 많이 늘었습니다.

은행에서 3년 새 고소득자 대출이 15.6%(2019년 4분기 653조 7천억 원→2022년 4분기 756조 원) 불어나는 동안 저소득자의 대출은 9.6%(98조 1천억 원→107조 5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다만 2금융권에서는 고소득자(17.9%·360조 7천억 원→425조 2천억 원)와 저소득자(17.0%·82조 7천억 원→96조 8천억 원)의 대출 잔액 증가율이 비슷했습니다.

그만큼 신용도가 낮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저소득자들이 코로나19 3년간 2금융권에서 많은 돈을 끌어 썼다는 뜻입니다.

20·30대 청년층과 저소득층 등 취약 차주의 연체율도 조금씩 오르면서, 경제·금융의 잠재적 불안 요소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은행·2금융권을 통틀어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4분기 현재 0.5%인데, 2020년 4분기 이후 줄곧 0.4%를 유지하다가 0.1%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40대(0.6%), 50대(0.6%), 60대 이상(0.7%)의 연체율도 작년 말을 기점으로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중소득 대출자(소득 30∼70%)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이미 1.0%를 찍었고, 저소득자(0.9%)도 1%에 바짝 다가섰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