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주가 또 곤두박질…강제매각 가능성 커져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주가 또 곤두박질…강제매각 가능성 커져
기사회생하는 듯했던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주가가 다시 곤두박질치는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면서 지난달 붕괴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주가는 전날보다 40% 안팎으로 폭락했습니다.

주가는 한때 50%까지 떨어져 거래가 일시 정지되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초만 해도 100달러를 넘었던 주가는 SVB 사태 여파로 지난달 90% 가까이 폭락했고, 지난 24일 1분기 실적보고서 공개 후 연일 급락 장세를 이어가며 다시 70%가량 떨어졌습니다.

시가총액도 역대 처음 10억 달러 아래로 쪼그라들었습니다.

CNBC방송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구제대책 가운데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퍼스트리퍼블릭의 파산관재인을 맡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전했습니다.

지난달 SVB가 갑작스러운 뱅크런(현금 대규모 인출) 사태로 부도위기에 처하자 FDIC가 파산관재인으로 임명된 것과 같은 흐름입니다.

FDIC가 파산관재인으로 임명되면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은 사실상 강제 매각 수순을 밟게 됩니다.

SVB의 경우 곧바로 폐쇄돼 FDIC가 들어왔고, 이후 매각 절차를 밟았습니다.

SVB의 기존 예금은 FDIC가 세운 '샌타클래라 예금보험국립은행'(DINB)이라는 이름의 새 법인으로 이전됐고, 보유 자산은 매각된 바 있습니다.

이어 미국 중소은행 퍼스트 시티즌스에 인수되면서 SVB는 간판을 내렸습니다.

SVB의 모기업이었던 SVB파이낸셜그룹은 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은행이 나온다면 FDIC의 개입을 피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끝내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FDIC가 퍼스트리퍼블릭의 예금과 자산을 인수해 직접 관리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퍼스트리퍼블릭은 대형 은행들에 채권과 그 밖의 다른 자산을 시세 이상의 가격에 인수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CNBC가 전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