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국 학력평가 성적 유출은 경기교육청 서버 해킹…해커 추적 중

전국 학력평가 성적 유출은 경기교육청 서버 해킹…해커 추적 중
지난해 11월 치러진 전국연합 학력평가 성적 자료 유출 사건은 경기도교육청 서버를 대상으로 한 해커의 소행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찰은 해당 자료를 텔레그램 채널에 올린 최초 유포자를 구속하는 한편, 이 자료를 해킹해 유포자에게 전달한 불상의 해커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오늘(27일) 이 사건 중간 수사 결과 발표를 통해 정보통신망법 위반(개인정보유출) 혐의로 20대 남성 A 씨를 구속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A 씨는 지난 2월 18일 오후 10시 30분쯤 자신이 운영하는 텔레그램 채팅방 '핑프방'에 불상의 해커로부터 받은 전국연합 학력평가 성적 자료를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 채팅방에는 입시 관련 자료들이 공유돼 왔는데, A 씨는 채팅 참여자들에게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불상의 해커로부터 별개의 텔레그램 채팅을 통해 받은 해당 성적 자료를 올렸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은 앞서 이 해커가 해외 IP를 우회해 경기도교육청 서버를 해킹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도 교육청은 성적전산처리 위탁업체에 성적관리를 맡기고 이 업체로부터 응시생들의 성적이 담긴 이동식저장장치(USB)를 받은 뒤 도교육청 서버에 이를 올리면 개별 학교가 응시생들의 성적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성적 전산처리를 합니다.

이 해커는 도 교육청 서버에 올려져 있던 자료를 해킹해 A 씨에게 제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2월 도 교육청으로부터 피해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94만 건에 달하는 접속 기록을 분석하고, IP 추적과 국제 공조 등을 통해 A 씨를 검거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불상의 해커의 경우 해외 IP를 사용해 우회 접속, 검거를 위해서는 해외 기업들의 협조를 받아야 하는 등 다소 애로사항이 있었다"며 "해커의 IP를 계속해서 추적하며 검거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A 씨와 함께 '핑프방' 채널을 운영한 20대 남성 B 씨를 비롯한 5명도 유출된 성적자료를 텔레그램 채널과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 가공 및 재유포하는 등 개인정보를 누설한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A 씨와 B 씨는 평소 여러 방법으로 입수한 대학 입시학원들의 수험 자료를 텔레그램 채널에 불법으로 게시하기도 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은 이들의 저작권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추가 확인할 예정입니다.

특히 자료 가공 및 재유포 혐의로 입건된 이들 중에는 가지고 있지 않은 정보를 빌미로 돈을 받아내려고 한 피의자도 있어 경찰은 그의 사기 혐의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한편,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이 사건과 별개로 앞서 도 교육청 서버를 해킹해 이번에 유출된 것과 같은 자료를 소지하고 있던 10대 C 군도 검거했습니다.

C 군은 경찰 조사에서 "평소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 실력을 시험해 보고 싶어 해킹을 시도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경찰은 이 밖에도 도 교육청의 정보를 불법으로 탈취하거나 유포한 피의자들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인터넷에 개인정보를 유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는 관련 법률에 따라 처벌 될 수 있다"며 "유출된 정보를 공유·전달·재가공하는 행위 또한 형사 처벌 대상"이라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앞서 도 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치러진 전국연합 학력평가 자료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하고 지난 2월 19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이 평가시험은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했습니다.

(사진=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