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1분기 반도체 적자 4조 5천800억 원…매출도 반토막

삼성전자 1분기 반도체 적자 4조 5천800억 원…매출도 반토막
삼성전자가 글로벌 메모리 업황 악화로 반도체 부문에서만 4조 5천억 원이 넘는 적자를 냈습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에서 분기 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천402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27일) 공시했습니다.

이는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천857억 원을 9.3% 웃도는 수준입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대 이하로 주저앉은 것은 2009년 1분기(5천900억 원) 이후 처음입니다.

매출은 63조 7천454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1% 감소했습니다.

순이익은 1조 5천746억 원으로 86.1% 줄었습니다.

이는 지난 7일 공시한 잠정 실적(매출 63조 원, 영업이익 6천억 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며 수요가 부진하고 재고가 늘며 가격이 하락하는 등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악화하며 사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무려 4조 5천8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DS 부문 매출은 13조 7천300억 원에 그쳤습니다.

작년 동기(매출 26조 8천700억 원, 영업이익 8조 4천500억 원)와 비교하면 매출은 반토막 났고, 영업이익은 무려 13조 원이 증발한 셈입니다.

메모리반도체는 재고 자산 평가 손실의 영향 속에 고객사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해 실적이 대폭 감소했습니다.

D램의 경우 서버 등 고객사 재고가 높아 수요가 부진했습니다.

다만 낸드는 수요 약세에도 고용량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해 비트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습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과 TV 등의 수요 부진으로 주요 제품의 수요가 급감해 실적이 하락했습니다.

파운드리 역시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위축됐고 고객사 재고 증가로 주문이 감소해 실적이 하락했습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1분기 매출 46조 2천200억 원, 영업이익 4조 2천1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은 갤럭시 S23의 판매 효과로 모처럼 호실적을 내며 반도체 부문의 적자를 만회했습니다.

수익률도 두 자릿수 이상으로 회복됐습니다.

가전은 수요 위축과 비용 부담으로 부진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어려운 환경에서 미래 대비를 위한 투자는 크게 늘렸습니다.

올해 1분기 시설 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10조 7천억 원입니다.

역대 1분기 기준으로 최대 금액입니다.

이중 반도체는 9조 8천억 원, 디스플레이(SDC)는 3천억 원 수준입니다.

연구개발비는 6조 5천800억 원으로 지난 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