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미 신흥기술 대화 신설…"회복력 있는 공급망 구축"

한미 신흥기술 대화 신설…"회복력 있는 공급망 구축"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정상회담에서 '한미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신설키로 합의했습니다.

양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주도하는 이 대화는 바이오·배터리·에너지 기술·반도체·디지털·양자 등 분야에서 협력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번갈아 가며 매년 개최하는 이 대화의 첫 회의는 올해 하반기에 열릴 예정입니다.

우선 바이오 기술과 제조 분야에서 표준 개발·제조 공정과 규모의 최적화·신흥기술 연구협력· 바이오 경제를 위한 인프라 및 데이터 공유가 이뤄집니다.

아울러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차세대 배터리 소재 및 공정·청정 및 재생에너지 등 베터리·에너지 분야에서 기술 협력을 도모합니다.

이외에도 반도체·디지털 경제·양자정보과학기술 등 분야에서도 협력합니다.

아울러 양국 정상은 학생·연구자·산업계 교류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차세대 과학자·엔지니어 양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양 정상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한미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 출범에 관한 공동성명'도 이날 채택했습니다.

양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첨단기술과 국가안보 간의 연계가 더욱 중대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며 "이 대화는 경제적 번영을 촉진하고,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산업·대학을 포함한 양국 간 기술 협력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보도자료에서 "글로벌 혁신 생태계를 발전시키고 회복력 있는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도 이 대화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대화 신설은 윤 대통령이 국빈 방미 기간 수차례 강조한 '한미 첨단기술 동맹'의 추진 방향을 구체화한 결과물로 보입니다.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R&D)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적 구축도 중요해진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이날 오후 워싱턴DC 프레스룸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한미 정상은 오늘 정상회담에서 공급망과 첨단기술 동맹을 강화키로 합의했다"며 "양국 간 반도체 상호 투자·협력은 글로벌 공급망 안정과 강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핵심·신흥기술 대화를 통해 양국이 디지털 기술 표준을 함께 마련할 것"이라며 "양자 분야도 누가 기술과 표준을 선점하느냐에 따라 전세계 산업과 경제 구도가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