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윤 대통령, 방미 때 '한국전 참전' 퍼켓 · 윌리엄스 · 로페즈에 무공훈장

지난 3월 24일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현지에서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 3명에게 최고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직접 수여합니다.

한국 대통령이 외국 현지에서 무공훈장을 친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 도중 한미 주요 인사 300여 명과 감사 오찬을 갖고, 그 자리에서 참전용사들에게 훈장을 친수할 예정이라고 대통령실이 오늘(23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랄프 퍼켓 예비역 육군 대령, 앨머 로이스 윌리엄스 예비역 해군 대령에게 훈장을 친수하고, 고(故) 발도메로 로페즈 중위에게는 조카인 조셉 로페즈가 참석한 가운데 훈장을 추서할 계획입니다.

퍼켓 대령은 1950년 11월 25일 미 제8군 유격중대 중대장(중위)으로 참전해 평안북도 소재 205고지 진지를 6회에 걸쳐 사수하고 대원들의 목숨을 구했습니다.

윌리엄스 대령은 1952년 11월 적군 미그15기 7대와 교전 끝에 4대를 격추했고, 로페즈 중위는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에서 수류탄에 몸을 던져 부하들의 희생을 막았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찬에서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고, 6·25전쟁을 통한 한미 동맹의 역사와 의미, '미래로 전진하는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이번 오찬에는 한미 동맹의 상장인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외손자 조셉 맥 크리스천 주니어와 백선엽 장군의 장녀인 남희 씨가 초청됐습니다.

아울러 제2연평해전 승전의 주역인 이희완 해군 대령, 연평도 포격전 당시 포7중대장이었던 김정수 해병대 중령, 천안함 함장이었던 최원일 예비역 해군 대령과 참전 장병인 전준영 예비역 해군 병장, 비무장지대(DMZ) 목함 지뢰 사건 부상 장병인 하재헌 예비역 육군 중사와 김정원 육군 중사, K-9 자주포 폭발 부상 장병인 이찬호 예비역 육군 병장, 김포 지뢰 폭발 사고 부상 장병인 이주은 예비역 해병대 대위 등 8명도 참석합니다.

대통령실은 미 포로·실종 장병을 추모하기 위해 오찬장 안에 빈 좌석의 테이블을 둘 예정입니다.

미 국방부 전쟁 포로·실종자 확인국과 함께 마련한 추모 테이블입니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 테이블에 촛불을 켜면서 아직 돌아오지 못한 참전용사를 끝까지 찾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전할 것이라고 대통령실은 예고했습니다.

오찬 사회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영웅인 한인 2세 제이슨 박이 맡습니다.

참전용사 후손인 매트 카팅구브와 6·25전쟁 고아의 후손인 용재 오닐의 기념 공연, 한미 동맹 70년의 특별한 순간을 담은 30점의 사진 전시도 준비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