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G7, 대중국 연합전선 형성…"경제 관계 축소 방안도 검토"

G7, 대중국 연합전선 형성…"경제 관계 축소 방안도 검토"
▲ G7 외교장관 실무 만찬 참석한 각국 장관들

주요 7개국(G7) 국가들이 일본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의를 계기로 중국에 맞서는 연합전선을 공고히 하는 데 골몰하고 있습니다.

18일 AP와 블룸버그 통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16일부터 이날까지 사흘간 일본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에서 열리는 G7 외교장관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중국과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논의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G7 외교장관들이 중국과 가능한 모든 방면에서 협력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낮춘다는 접근법에 동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장관들은 또한 중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과 대만과의 군사적 갈등을 고조시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WSJ도 미국과 동맹국들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과의 투자·무역은 유지하면서 전략적인 특정 분야에서의 관계를 제한하고자 경제 관계를 축소해 나가는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고 서방 국가의 고위 경제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천연가스 수출을 억제해 세계 에너지 시장을 불안정하게 한 것을 계기로 중국도 유사시 이와 비슷하게 주요 수출품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고, 이에 대비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구체적 정책 수단으로 대중국 연합전선의 응집력을 높이려 한다는 것입니다.

미국 국무부의 한 관리는 17일 저녁 이와 관련해 G7 국가들이 지난 1년간 우크라이나군 무장을 위해 긴밀히 협조해 왔다면, 이제는 중국이 제시한 도전에 대해 새로이 논의하게 됐다고 블룸버그에 말했습니다.

이 관리는 또한 G7이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타이완과 관련한 현재 상황을 바꾸려는 중국 측의 강압적인 조치나 노력에는 맞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번 회의에 참여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인 일본은 중국에 대해 일치된 접근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이번 외교장관 회의의 첫 공식 일정이었던 16일 저녁 실무 만찬에서 중국과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우리의 우려를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중국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행동할 것을 촉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