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남 땅도 줄줄이 좌초…커지는 경고음에 당국 나섰다

<앵커>

부동산 한파가 계속되면서 대출을 받지 못하거나, 혹은 갚지를 못해서 사업 자체가 좌초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땅도 예외가 아닙니다.

금융당국도 이 때문에 비상이 걸렸다는데, 박예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울 강남의 한 부지.

원래는 고급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었습니다.

[인근 상인 : 지금 다 공사 철거하고, 그래서 이 상태예요. 안 지었어요. 한 1년 거의 다 됐는데.]

시행사는 토지 매입 비용인 1520억 원을 초기 사업 대출인 '브릿지론'으로 조달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불황과 건축비 급등 등으로 본사업에 들어가기 위한 부동산 대출을 받지 못했고, 결국 지난해 말 브릿지론 이자를 내지 못해 부지가 공매로 나오게 됐습니다.

[시행사 관계자 :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서 금융위기가 와 가지고. 지금 (브릿지론) 연장을 해서 어떻게든 사업을 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유명 브랜드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었던 서울 강남의 다른 부지도 사업이 좌초됐습니다.

본사업 부동산 대출이 지연되자 브릿지론을 대출해 준 금융회사들이 원금 일부라도 건지기 위해 땅을 공매로 넘긴 겁니다.

지방뿐 아니라 최고 입지라 인식되는 서울 강남권에서도 사업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부동산 대출 부실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130조 원에 육박합니다.

연체율이 1년 사이에 급등했는데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10.38%에 달합니다.

커지는 경고음에 금융당국은 선제 대응에 나섰습니다.

부동산 PF 사업장 전수 조사에 이어 모든 금융권이 참여하는 PF 대주단 협의체를 이달 중에 가동합니다.

여기에 속한 금융사 3분의 2 이상 찬성하면 대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또 1조 원의 펀드를 조성해 부실 PF 자산을 매입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영상편집 : 김윤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