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의 악의적 도청 정황 없다" vs "굴욕적 저자세"

<앵커>

이런 가운데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미국이 우리한테 어떤 악의를 가지고 도청이나 감청했다는 정황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야당은 선의로 도청하는 경우도 있느냐며 정부의 대응을 질타했습니다.

이 내용은 박찬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미 정상회담 조율차 미 워싱턴에 도착한 김태효 안보실 1차장, 출국 전 공개된 정보의 상당수가 위조된 거라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김태효/국가안보실 1차장 : 동맹국인 미국이 우리에게 어떤 악의를 가지고 (도·감청)했다는 정황은 지금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12일) 국회 외통위 현안 질의에선 이 발언이 특히 문제가 됐습니다.

[김경협/국회 외통위원 (민주당) : 선의를 가지고 하는 도청이 있습니까? 문제는 과연 한국을 동맹국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감시와 도청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인지.]

야당은 무슨 근거로 공개된 정보 상당수가 위조라는 결론을 내렸냐며 정부가 사태 발생 이후 굴욕적인 저자세로 일관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우상호/국회 외통위원 (민주당) : 한미동맹이 깨지면 안 되니까 덮어야 되겠다는 생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를 도·감청해도 되는 나라입니까?]

[박진/외교부 장관 : 주권국가로서 그런 도·감청 문제에 대해선 당연히 우리가 당당하게 미국과 이야기를 해야 하고, 만약에 문제가 있으면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당에서도 정부의 섣부른 대응을 나무라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윤상현/국회 외통위원 (국민의힘) : 터무니없는 거짓 의혹이다, 확정적으로 얘기를 합니다. 미국의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성급한 판단을 해요.]

여당은 대통령실이 도·감청에 취약한 거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정부를 적극 옹호했습니다.

[태영호/국회 외통위원 (국민의힘) : (주변에) 외국 공관이 있다는 이 사실 하나만을 가지고 우리 정부 기관이 도·감청에 취약하다, 저는 이런 견해가 잘못됐다고 봅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에 대한 도·감청은 불가능하다며 문건에 나온 김성한 전 안보실장, 이문희 전 비서관의 대화가 도청됐다고 해도, 시점과 내용상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고 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영상편집 : 위원양)

▶ [단독] 도청 문건에 '한국 포탄 33만 발'…실제로 폴란드행?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