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동맹국 도청' 의혹에 프랑스 · 이스라엘 "허위 정보" 선 긋기

미국 '동맹국 도청' 의혹에 프랑스 · 이스라엘 "허위 정보" 선 긋기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미국의 기밀 추정 문건이 온라인에서 무더기 유출된 것과 관련해 이스라엘과 프랑스 등은 문건 속 도청 내용이 '허위 정보'라고 전면 부인했습니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 등에 따르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실은 성명을 내고 문제의 기밀문서 가운데 자국의 대외 정보기관 모사드가 정부의 사법개혁 반대 시위 참여를 촉구했다는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총리실은 성명에서 "모사드와 그 고위 인사들은 시위 문제에 전혀 관여하지 않으며 모사드 설립 때부터 이어져 내려온 국가에 대한 봉사라는 가치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외신 보도에 따르면 유출된 기밀문건 중 '최고기밀'로 분류된 한 문서에 지난 2월 모사드 고위 지도자들이 "이스라엘 정부를 비난하는 행동을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등 정부의 사법개혁에 반대하는 모사드 관리와 시민들을 지지한다는 사실을 신호정보로 파악했다"고 돼 있었습니다.

'신호정보(SIGINT·시긴트)'란 미국 정보기관이 전화 통화나 전자메시지를 도·감청해서 수집한 정보라는 의미입니다.

모사드는 대외 첩보기관으로 국내 문제에 개입하지 못하게 돼 있습니다.

프랑스도 앞서 9일 자국군이 우크라이나에 있다고 지목한 문건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해당 문건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프랑스와 미국, 영국, 라트비아의 특수작전 요원 100명 미만으로 구성된 소규모 파견대가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내용을 시사했습니다.

이와 관련, 세바스티앙 르코르뉘 프랑스 국방부 장관은 대변인을 통해 "우크라이나 작전에 연관된 프랑스군은 없다"면서 "인용된 문서는 프랑스군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출처가 불분명한 문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 등 미 주요 언론은 우크라이나 전황 등을 분석한 미국 정부의 기밀 문건이 소셜미디어에서 유출됐다고 6일부터 앞다퉈 보도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특히 유출된 문건에는 프랑스, 이스라엘, 한국 등 동맹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도감청 정황이 담겨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이 문건에는 한국의 외교안보 컨트롤타워인 김성한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등이 미국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심한 대화로 추정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에서는 전날 대통령실 관계자가 브리핑을 통해 "제기된 문제에 대해 미국 측과 필요한 협의를 할 예정"이며, 무기 우회 지원설에 대해서는 "확정된 사안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문제의 유출 문건은 미 국가안보국(NSA)·중앙정보국(CIA)·미 국무부 정보조사국 등 정부 정보기관 보고서를 미 합동참모본부가 취합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알려진 것만 총 100여 쪽에 이르는 이 문건에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의 최신 전황 등 상세한 정보와 미국이 한국과 이스라엘 등 주요 동맹국을 상대로 도·감청으로 정보를 파악해 온 정황이 담겨 파문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정보 교란을 위해 문건을 조작했을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외신들은 해당 문서들이 "진짜 같다"는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발언을 전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국방부와 법무부 등에서 문건 유출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는 공식 입장 외에 도·감청 의혹 등 유출 내용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