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40년 만에 가동 중지된 고리2호기, 한수원 "2025년 6월 재가동 목표"

40년 만에 가동 중지된 고리2호기, 한수원 "2025년 6월 재가동 목표"
1983년 4월 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국내 3번째 원전인 고리2호기가 운영 허가 만료로 40년 만에 발전을 중단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고리2호기는 4월 8일 밤 10시 운영 허가 기간 40년이 종료됨에 따라 원자로 가동을 중지했습니다.

고리2호기가 지난 2019∼2020년 '계속운전' 절차에 돌입했더라면 중단 없이 재가동될 수 있었지만, 당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해당 절차에 착수하지 못했습니다.

'계속운전'은 예상 수명에 도달한 원전의 안전성을 평가해 문제가 없을 경우 운전을 계속하는 것을 뜻합니다.

운영 허가 만료 후 원전을 계속운전하려면 안전성 심사와 설비 개선 등의 절차에 3∼4년이 소요됩니다.

또 고리 2호기의 당시 법령상 계속운전 신청 기한은 수명 만료 최소 2년·최대 5년 전이었지만 한수원은 법령상 기한이 지나도록 계속운전을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한수원은 원전 생태계 복원을 기치로 내건 윤석열 정부 들어 고리2호기의 재가동에 속도를 냈고, 지난달 30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고리2호기 운영 변경 허가를 신청했습니다.

고리2호기의 재가동 가능 시점은 현재로서 불투명하지만, 한수원은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최대한 일정을 앞당겨 2025년 6월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소재한 고리2호기는 지난 40년간 330만여 명의 부산시민이 약 1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19만 5천560GWh(기가와트시)의 전력량을 생산했습니다.

한수원 측은 "원전의 설계 수명은 운영 허가 시 안전 평가를 위해 가정한 최소한의 기간일 뿐이지 시설의 실제수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설계수명에 도달했다고 발전소의 안전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 439기 가운데 229기(52%)가 계속운전을 승인받았으며 172기(39%)는 계속운전 중입니다.

또 애초 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 원전 252기 중 233기(93%)는 계속운전 중이거나 계속운전 이후에야 영구 정지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