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동산 침체에 부자 총자산 1년 새 6억 원↓

부동산 침체에 부자 총자산 1년 새 6억 원↓
지난해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부자 1인당 총자산이 약 6억 원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부자들은 향후에도 투자 의향 1순위로 부동산을 꼽았으며, 3명 중 1명 이상이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되는 시점을 2025년 이후로 예측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대한민국 웰스(Wealth) 리포트'는 10억 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의 투자 전략과 부동산 투자 방식 등을 분석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부자의 총자산 평균은 약 72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억 원 감소했습니다.

부동산 가격 하락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부자 1인의 평균 부동산 자산 보유액은 2021년 말 45억 원에서 2022년 말 39억 7천만 원으로 줄었습니다.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이 55%, 금융자산이 43%, 기타 2% 등이었습니다.

부자의 66%는 지난해 금융자산 운용으로 수익을 냈지만 32%는 손실을 입었습니다.

2021년 91%가 이익을 내고 8%만 손실을 본 것과 대비됩니다.

금융자산 1억 원 이상에서 10억 원 미만 보유자인 대중부유층 역시 금융자산 운용으로 손실을 본 비중이 2021년 15%에서 지난해 39%로 높아졌습니다.

부자 중 79%는 올해 실물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부동산 경기 또한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84%에 이르렀습니다.

올해 부동산 매매가격 하락 폭에 대해 현 수준 대비 10∼30%와 5∼10%로 예측한 이들이 각각 41%였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하는 시점과 관련해 부자의 37%는 '2025년 이후'로, 26%는 '2024년 하반기', 24%는 '2024년 상반기'로 각각 전망했습니다.

다만 주식 시장은 부동산 시장보다 이른 올해 하반기에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측한 사람이 전체의 47%였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예상에도 불구하고 부자들은 향후 투자 의향이 높은 자산 1순위로 부동산(32%)을 꼽았습니다.

부자 3명 중 1명은 올해 부동산 매입 계획이 있고 매입 부동산 유형은 40평형 미만 중소형 아파트가 44%로 가장 많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