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기 화물차 늘려 놓고…"없으면 그때부터 진땀 나지"

<앵커>

요즘 고속도로 휴게소에 있는 전기차 충전소에 들렀지만 화물차들이 자리를 차지해 충전을 못 했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전기 화물차가 크게 늘었지만 정작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해서 벌어진 일입니다.

백운 기자입니다.

<기자>

평일 낮 시흥하늘휴게소.

전기차 충전소 네 자리는 한 자리만 빼고 전기 화물차 차지입니다.

[이연호/전기차 운전자 : 여기도 화물차 지금 몇 대 있잖아요. 전에는 화물차 많지 않았어요. 화물차가 다 차지하고 승용차가 못 대는 경우도 있고.]

죽전휴게소 충전소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정부는 전기 화물차 확산을 위해 약 2천만 원의 구매 보조금을 주고, 지난해까지 3년여 동안 영업용 번호판을 무상으로 지급했습니다.

이 효과로 연간 신규 등록 전기 화물차는 2019년 1천89대에서 지난해에는 3만 8천여 대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그런데 충전소 숫자는 이를 따라가지 못한 것입니다.

[김명동/전기화물차 운전자 : 나라에서 권장했잖아 (영업용) 번호판도 무상으로 주고. 현혹돼서 구입했는데 후회해, 후회해. 충전기가 부족하니까, 터무니없이 부족하니까.]

[유원식/전기화물차 운전자 : 충전소가 바로바로 옆에 없으니까, 그때부터 등허리에 진땀이 나지.]

[박상기/전기화물차 운전자 : 급한 사람들은 국도로 빠져서 근처에 면사무소나 이런 거 찾아서, 거기 가서 충전하고 다시 고속도로 타고 올라오고.]

충전소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것도 문제입니다.

현재 민간 전기차 충전사업자 426곳 중 중소기업은 310곳, 개인 사업자는 24곳으로 전체의 78.4%에 달합니다.

영세 사업자의 경우 24시간 콜센터 운영, 신속한 고장 수리 등 유지 보수가 제대로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희구/전기차 운전자 : (충전기가 고장 나서) 충전기에 표시된 곳으로 전화를 걸었는데 다른 업체에서 전화를 받았어요.]

[김필수/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충전 사업자) 보조금을 타 먹기 위한 업체들도 많이 등장을 하고, (정부가) 보급만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좀 더 정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환경부는 우선 한국도로공사와 협의해 휴게소당 평균 2곳인 공공 전기차 충전소를 6곳으로 확대하고, 전기화물차 우선 충전 구역도 지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이승환, 영상편집 : 김인선, CG : 서현중·권혜민)

▶ [일단가봐] "충전하다 환장혀~" 전기차 충전소 점령한 전기 화물차? 대체 무슨 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