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나 몰래 다른 집에 전입신고' 전세 사기 막는다

'나 몰래 다른 집에 전입신고' 전세 사기 막는다
청년 전세 사기 예방 캠페인에서 부동산계약 상담 받는 청년들 

세대주인 집주인이 세입자를 다른 곳으로 몰래 허위 전입신고한 뒤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은 사건이 잇따르자 정부가 예방책을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이런 '나 몰래 전입신고'는 차단되고, 자기 주소가 변경된 사실을 쉽게 알 수 있게 됩니다.

행정안전부는 ▲ 전입신고 절차 개선 ▲ 전입신고 시 신분 확인 강화 ▲ 전입신고 등 통보 서비스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전세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한 전입신고 등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전입신고 시 '전입하려는 곳의 세대주'(현 세대주)가 전입 당사자의 서명 없이 '이전 거주지의 세대주'(전 세대주)의 서명만으로 신고할 수 있는 허점이 있었습니다.

앞으로는 반드시 전입 당사자의 서명을 받도록 해 전입자의 확인 없이는 전입신고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현재 전입 신고자에 대해서만 신분증 확인을 하는데 앞으로는 전입신고서에 서명한 현 세대주 및 전입자의 신분증 원본을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반드시 확인하게 됩니다.

다만 현 세대주 및 전입자가 신고자의 가족(배우자 혹은 직계혈족)이라면 신분증 원본 확인 없이 행정정보 공동이용으로 가족관계를 확인합니다.

아울러 '전입신고 등 통보 서비스'를 전입신고와 동시에 신청할 수 있게 하고,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자신의 주소 변경 사실을 통보받을 수 있는 '주소 변경 사실 통보 서비스'도 신설합니다.

행안부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다른 곳으로 전입신고가 돼 피해를 보는 사례를 막을 수 있다고 기대했습니다.

행안부는 이러한 제도 개선 방안을 담은 주민등록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이달 중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에 앞서 오는 5일 주민등록 업무 지침을 개정해 지자체에 통보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