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전조차장역 SRT 열차 탈선 원인은 선로변형…"유지 관리 미흡"

대전조차장역 SRT 열차 탈선 원인은 선로변형…"유지 관리 미흡"
지난해 대전조차장역 인근 SRT 열차 탈선 사고는 레일 온도 상승으로 인한 선로변형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선과 고속전용선을 잇는 중계레일이어서 구조적 취약점이 있었지만, 선로 유지관리가 미흡했고, 선로변형이 발견된 뒤에도 적절한 통제나 보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해 7월 1일 오후 3시 20분쯤 경부고속선 상행선 대전조차장역 인근에서 발생한 SRT 고속열차 궤도이탈 사고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사고 열차는 선로변형 발생지점을 약 98㎞/h의 속도로 통과하던 중 궤도를 이탈했고, 승객 11명이 다쳤습니다.

조사 결과 중계레일 부분에 레일이 팽창해 횡 방향으로 급격히 부풀어 오르는 현상인 좌굴이 발생한 후 여러 대의 열차가 통과하면서 선로변형이 확대됐습니다.

중계레일은 일반레일보다 도상 침하와 뜬 침목 발생 가능성이 높고, 궤도 강성의 차이로 레일 표면이 큰 힘을 받게 되는 등 구조적인 취약점이 있습니다.

또 사고 당일에는 폭염주의보가 발효될 정도로 높은 기온에 레일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궤도 뒤틀림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고 발생 약 1시간 전 선행 열차 기장이 선로변형을 발견했지만, 관계자의 보고체계 미준수, 불명확한 점검 위치 통보 등으로 적절한 보수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1번선에 문제가 있다고 최초 보고됐지만, 내용 전달 과정에서 2번선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최종 보고돼 사고 이전 2번선에 대한 육안 점검만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조위는 선로에 대한 하절기·일상 순회 점검 등을 적정하게 시행하지 않는 등 선로 유지관리도 미흡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사조위는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SR, 국가철도공단에 9건의 '안전 권고'를 했습니다.

코레일에는 중계레일이 설치된 1천767곳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완하고 취약 개소로 지정해 관리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사조위는 코레일과 SR에 선로 변형 발견·감지 시 긴급 정차 판단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규정 및 매뉴얼을 보완해 교육·훈련을 시행하도록 했습니다.

국가철도공단에는 중계레일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사고 구간처럼 고속선에 해당하지만 일반철도 관리 기준을 적용받는 구간의 하절기 점검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중계레일 취약 개소 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등 선로 유지관리 지침을 개정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사진=대전소방본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