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세 이전 스마트폰 과다 노출, 소아 발달 지연에 큰 영향"

"2세 이전 스마트폰 과다 노출, 소아 발달 지연에 큰 영향"
요즘 아이들은 영유아기부터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미디어 기기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

영유아를 위한 영상 콘텐츠 플랫폼이 워낙 발달한 데다 알고리즘에 의한 콘텐츠 추천기능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반복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 2세 이전 영유아들의 이 같은 디지털 미디어 시청이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됩니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2019년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영유아 96명과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소아 건강 분야 국제학술지(Global Pediatric Health)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 영유아의 부모와 인터뷰를 통해 미디어 노출시간, 시기, 형태 등을 분석했습니다.

이 결과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만 2세 이전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95.8%에 달했지만, 대조군은 59.4%에 그쳤습니다.

평균 미디어 시청 시간도 2시간 이상 시청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63.6%, 대조군에서는 18.8%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미디어 시청 때 보호자 동반 여부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77.1%였지만 대조군은 이런 비율이 38.6%였습니다.

시청 프로그램의 유형에서도 영어과 동화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대조군에서 높았습니다.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55%), '아이 달래기'(26.5%) 등을 주로 꼽았습니다.

반면 대조군은 이런 답변이 각각 41.3%, 7.4%로 적은 편이었습니다.

미디어 노출이 아동 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논란이 있지만,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는 2세 이전 미디어 노출을 권장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 뇌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관찰연구에서는 영유아의 미디어 노출이 인지과정보다 단순히 시각피질만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사람과의 상호작용은 뇌 발달을 훨씬 더 활성화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최근 사회성 발달 지연과 관련된 자폐스펙트럼장애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미디어 노출 증가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김성구 교수는 "어린 나이에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게 된다"면서 "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발달 지연 아이의 경우 부주의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미디어 노출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때는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