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부간선 지하화 하반기 착공…"월릉교∼대치동 10분대"

동부간선 지하화 하반기 착공…"월릉교∼대치동 10분대"
▲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완료 후 예상 조감도(이화교, 남→북 방향)

서울 동부간선도로 월릉교∼대치동 12.2㎞ 구간의 지하화 사업이 올 하반기 착공됩니다.

2028년 지하도로가 완공·개통되면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차량정체가 해소되고 동남∼동북권 간 통행 시간은 약 20분 단축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했습니다.

서울시는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사업 중 민간투자사업 구간(10.1㎞)의 시행자로 동서울지하도로㈜를 선정, 오늘(27일) 실시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습니다.

동서울지하도로㈜는 대표회사인 ㈜대우건설을 비롯해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등 총 12개사가 출자해 설립됐습니다.

시는 2015년 8월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접수해 한국개발연구원 민자적격성조사,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실무협상 등을 거쳤으며 작년 말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까지 완료했습니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장·단거리 교통을 분리하기 위해 월릉교∼대치동(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 구간에 대심도 4차로 지하도로(터널)를 설치하고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을 지하화하는 내용입니다.

민자사업 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으로 나눠 건설되며 교통 여건, 서울시 재정 여건, 사업목적 등을 고려해 1·2단계로 추진됩니다.

1단계로 월릉교∼대치동 12.2㎞ 구간에 대심도 지하도로를 2028년까지 건설하고 2단계로 기존 동부간선도로 구간인 월계∼송정 11.5㎞를 지하화합니다.

1단계 사업 중 민자사업 구간은 중랑천과 한강 하저를 통과하는 연장 10.1㎞의 왕복 4차로 소형차 전용 지하도로입니다.

올 하반기 착공해 2028년 개통할 예정입니다.

총사업비는 민간 6천378억 원, 시비 3천496억 원을 합한 9천874억 원입니다.

통행료는 2천500원(성수 톨게이트 1천600원, 군자 톨게이트 900원)으로 책정됐습니다.

지하화 과정에서 기존 동부간선도로 월릉IC와 군자IC를 이용해 진·출입할 수 있게 하고 영동대로에 삼성IC, 도산대로에 청담IC를 각각 신설합니다.

진·출입 IC 4개소에는 지하도로 내 공기정화시스템을 설치합니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위치도

재정사업 구간은 영동대교 남단부터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까지 2.1㎞로 시비 3천348억 원을 투입합니다.

이 구간의 통행료는 없습니다.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완료했으며, 상반기 중 착공해 민자사업 구간과 함께 2028년 동시 개통합니다.

시는 동부간선지하도로가 완공되면 하루 약 7만 대의 차량이 지하로 분산돼 지상도로의 차량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하화 사업 완료 시 기존 동부간선도로의 교통량은 장안교∼중랑교 구간 기준 일 15만 5천100대에서 일 8만 7천517대로 약 43%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시는 또 동남∼동북권 간 통행시간이 기존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돼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2단계 사업은 1조 6천376억 원을 투입해 2029년 이후 착수합니다.

시는 중랑천 생태복원 작업을 병행해 지하화하는 도로 상부를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시는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이 끝나는 대치우성아파트사거리부터 성남강남 고속국도 종점부(일원동 일원터널교차로) 사이 3.0㎞의 연결구간이 2028년 동시에 개통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속도를 냅니다.

올해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성남강남 고속국도 사업 주체인 국토교통부와 적극 협력할 방침입니다.

연결구간이 개통하면 서울 동북권과 동남권, 경기 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이 구축돼 지역 간 균형발전뿐 아니라 교통편의 증진, 영동대로 차량정체 완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시는 전했습니다.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동부간선지하도로가 동북권 8개 구 320만 시민들이 발이 돼 경부고속국도 등과 연결되는 중추적인 교통로가 될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