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GPT-4 활용에 필수"…정부 'AI 조련사' 교육과정 신설 검토

"GPT-4 활용에 필수"…정부 'AI 조련사' 교육과정 신설 검토
정부가 챗GPT 같은 생성 인공지능(AI)에서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돕는 직업인 '프롬프트 엔지니어' 육성에 나설 전망입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란 AI가 사실에 더 가까운 답변을 내놓도록 다양한 목적의 명령어(프롬프트)를 만들어 입력하고 테스트하는 일을 합니다.

인공지능 시대가 배출한 첫 번째 직업으로 'AI 조련사'라는 별칭이 붙었습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출신들이 만든 미국의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은 최근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구인하면서 연봉 약 4억 4천만 원(33만 5천 달러)을 제시해 화제가 됐고, 국내에서도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대 1억 원 연봉을 내걸고 공개 채용에 나섰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16일) AI가 최상의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AI에 지시하고 AI와 대화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목표한 결과를 얻기 위해 생성 AI에 어떠한 질문을 던지고 질문 과정을 다듬어야 하는지 등의 방법론을 교육·전수하는 과정입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인공지능이 최상의 결과물을 내려면 AI 인재 육성이 꼭 필요하다"며 "교육과정을 대학 등 학교에 둘지와 교육 내용·기간, 민간 활용 연계 방식 등은 정책 연구를 통해 다듬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 업무는 코딩 능력보다는 생성 AI 사용 경험과 논리적, 언어적 관점에서 AI와 잘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뽑으면서 경력이나 코딩 실력을 보지 않고 채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디지털 인재 양성 사업이 점차 초·중급에서 고급인재 중심으로 바뀔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생성 AI가 보급되면서 개발자가 하던 단순·반복적인 작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소프트웨어 설계에 정통한 고급 개발자 수요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례로 개발자 코드 작성을 지원하는 플랫폼 '스택오버플로'는 챗GPT 출시 이후 트래픽이 급감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단순한 프로그램 언어 교육이 아니라 설계, 모듈 간 통합 등에 필요한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향후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으로 전해졌습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생성 AI 활용 방법을 공유하도록 독려할 방침입니다.

개발자 커뮤니티, 공개 소프트웨어 포털 등을 중심으로 생성 AI를 활용, 코딩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공유하도록 돕습니다.

또, AI 활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 버그 검증과 수정을 지원하는 사업 확대를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